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 노동자의 다중정체성과 창의적 자율성 간의 상관관계

이용수 574

영문명
The Multiple Identities of Creative Laborers and the Level of Creative Autonomy: A Case Study of the Korean Entertainment Television PDs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안채린(An, Chai Rin)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41집, 37~6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의 창의 산업이 전통적 예술 시장의 구조와 크게 차별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많은 연구 속에서 창의 노동자의 창의성과 창의적 자율성의 개념은 전통적인 미학적 자율성의 개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창의 노동과 창의적 자율성에 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분석한 뒤, 창의적 자율성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현실 속에서도 개인의 창의적 야망을 쉽게 버리기 보다는 최대한 유지하고 발전시키려 애쓰는 창의 노동자의 특수한 경향을 정체성 노동 이론을 통해 이해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창의적 자율성의 협상 과정을 보다 면밀히 들여다볼 수 있는 방법으로 다중정체성 개념을 소개하며, 해당 개념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 방송 산업 내의 예능 프로그램 메인 PD들과의 심층인터뷰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능장르에 종사하는 PD들은 창의적 개인, 조직구성원, 전문직업인의 세 가지 다른 정체성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으며, 커리어 발전 과정에서 형성되는 조직구성원 및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은 조직적 목표 및 전문직업 인간에 공유되는 우수성의 기준들을 내재하고 있었다. 창의 노동자의 다중정체성은 커리어가 발전해가는 과정에서 확립되기 때문에, 노동 시장 내의 지위가 높아짐에도 불구하고 노동자들의 창의적 자율성 수준을 제약하는 요소들은 오히려 늘어나게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창의 노동자의 자율성 수준은 커리어 발전 과정에서 늘 협상과 타협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Although creative laborers in the context of today’s cultural/creative production are large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artistic workers, there has been an historic tendency to define the concept of both creative autonomy needed by contemporary creative workers as ‘aesthetic autonomy’. The present research first analyse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creative labor and the concept of creative autonomy. To understand the specific tendency of creative workers who endeavor to maintain and develop their level of creative autonomy under the pragmatic constraints, the current research applies the theories of identity work. Furthermore, this paper suggests the concept of multiple identities of creative laborers as an alternative method to closely observe the negotiation process of the level of creative autonomy.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multiplicity theory, the paper analyse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16 Main PDs in South Korean entertainment broadcasting industry. Through the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Main PDs in television entertainment genre had three different but concurrent identities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In particular, both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identities reflected organizational aims and the shared standards among professional PDs respectively. Since the multiple identities are constructed throughout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the factors that limit the level of creative autonomy was continually increasing. Consequently, the level of creative autonomy was always subject to negotiate and compromise throughout career trajector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토론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채린(An, Chai Rin). (2017).창의 노동자의 다중정체성과 창의적 자율성 간의 상관관계. 예술경영연구, 41 , 37-65

MLA

안채린(An, Chai Rin). "창의 노동자의 다중정체성과 창의적 자율성 간의 상관관계." 예술경영연구, 41.(2017): 37-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