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시대 문화정책의 현재적 가치 연구

이용수 118

영문명
A Study on the Contemporary Value of Cultural Policy in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Cases of Cultural State Administration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원향미(Won, Hyang Mi)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41집, 243~26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8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한국 문화정책이 지속적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나 사회적 파급효과가 미비한 지점에 대해 필자는 먼저 문화정책의 확대된 프레임을 새로 구성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즉, 문화정책이 이제는 문화영역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라는 고전적 역할과 더불어 국정에 대한 문화적 영향이라는 확대된 역할까지 수행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정에 대한 문화적 영향이라는 문화정책의 확장적 역할에 대한 역사적 사례로 조선시대 문화정책에 주목하였다. 국가의 이상적 모델로서 문화국가를 지향했던 조선시대에서 문화는 성리학적 원리에 맞는 국가구성원 양성을 위한 ‘인도(人道)로서의 문화’와 국정운영의 원리로 기능하는 ‘입국(立國)으로서의 문화’라는 이중적 역할이 부여되었다. 그래서 국정운영의 원리로 문치(文治)주의와 예 악(禮樂)을 천명하였고, 국정운영에 있어서는 경연(經筵)이라는 군신(君臣) 간의 학문연구 및 소통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또한 국가정책 연구 및 생산기관으로 집현전, 홍문관, 규장각 등의 연구기관이 존재하였고 장악원, 도화서 등의 문화예술실연기 관도 국가주도로 운영하였다. 지금처럼 문화영역이 국정의 하위 분야에 속한 것이 아니라 국가운영의 원칙과 국정운영의 전 과정에 문화가 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왕정(王政)이라는 체제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문화정책은 오늘날 한국 문화정책이 지향해야 할 ‘문화에 기반한 국정운영’이라는 문화정책의 확장적 역할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oday, Korean cultural policy is continuously expanding its scope, but its social ripple effect is insufficient. I first pointed out that an expanded frame of cultural policy should be newly constructed. In other words, cultural policy should now play an expanded role of cultural influence on national affairs as well as the classical role of policy intervention in cultural domain. This paper focuses on the cultural policy of the Joseon Dynasty as a historical example of the expanding role of cultural policy called ‘cultural influence on national policy’. The culture played a dual role in the Chosun Dynasty, which was a cultural nation as an ideal model of the nation. One is a culture as a humanitarian culture to cultivate the members of the neo-Confucian state, and the other is the culture as a state revival that takes the culture as the principle of national operation. Through this, the principle of national operation was expressed as Munchi (the principles of civilian government) and Ye-ak (Ritual & Music). We used Kyong yeon , the academic research and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king and the bureaucracy in the national administration. National policy research and production institutions and cultural arts institutions were run separately, both actively managed by the state. In the Chosun Dynasty, culture is not a part of the sub-sphere of national affairs as in the present, but a principle of national operation and culture has influenced to the whole process of state administration. Despite the systematic limitations of the monarchy, it is meaningful that the cultural policy of Joseon provided a starting point for the expansionary role of cultural policy, which is the ‘culture - based administration of the nation’ which Korean cultural policy should aim for toda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선시대 문화정책의 원리와 문화적 국정 운영
Ⅳ.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원향미(Won, Hyang Mi). (2017).조선 시대 문화정책의 현재적 가치 연구. 예술경영연구, 41 , 243-265

MLA

원향미(Won, Hyang Mi). "조선 시대 문화정책의 현재적 가치 연구." 예술경영연구, 41.(2017): 243-2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