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麗末鮮初의 茶文化 樣相 硏究 - 牧隱 李穡의 境遇 -

이용수 200

영문명
The study on the pattern of drinking Tea in the era of the last period of Goryeo and the early days of Chosun dynasty -In the case of Mok Eun. Lee, Saek-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이진미(Lee Jin-mee)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38집,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여말선초 시기에 이루어진 차문화의 급격한 변화는 정치 체제의 변화와 사상의 변화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왕조가 교체되고 그 중심사상이 불교에서 유교로 전환 되는 과정에서 차를 비롯한 제반 문화의 변혁은 필연적인 것이었다. 본고는 이 전환의 시대에 우리의 차문화가 어떻게 변화되었던가를 살피고자 하는 연속적인 연구의 일환이 며,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경우를 통해 그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색이 남긴 다시(茶詩)들을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찾아낼 수있었다. 첫째, 이색은 부친 이곡과 스승 이제현의 다풍을 이어받아 생활 속에서 늘 차를 즐긴 차인이었다. 그는 「다보」의 속편을 짓고 싶다는 소망을 피력할 정도로 차에 정통한 전문가였다. 차에 관한 이색의 이런 전문적인 식견은 그가 남긴 거의 모든 다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이색의 다시들은 그가 유학자이기 이전에 불교 및 도교에도 상당한 애정과 관심을 가진 고려시대의 사람이었음을 보여준다. 신선의 경지에 대한 열망, 깨달음을 동반한 사찰에서의 음다 체험, 차를 보내주는 스님과의 아름다운 인연 등이 그의 다시들 곳곳에서 확인된다. 이는 불교와 차가 동시에 성행하고 융성했던 고려시대의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자, 고려왕조의 연명을 누구보다도 간절히 소망했던 이색 자신의 세계관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셋째, 이색의 다시에서는 유학자, 군자, 선비로서 그가 차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였 는지 또한 명확히 확인된다. <다후소영(茶後小詠)>과 같은 작품이 대표적이고, <전다즉 사(煎茶卽事)>와 같은 다시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넷째, 여말선초 시기를 대표하는 문장가이자 정치가였던 이색은 고려의 다풍(茶風)과 조선의 다풍을 동시에 보여주는 차인이기도 하다. ‘꽃 찻잔’을 들어 탈속적인 신선의 경지와 불교적 해탈의 경지를 꿈꾸는 모습이 고려의 다풍을 보여준다면, ‘작은 병’에 물을 긷고 ‘낡은 솥’에 차를 끓여 마시며 수신제가 치국평천하를 꿈꾸는 모습은 조선의 다풍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색은 숭유억불을 주창한 유학자이면서도 스님들과 차로 맺은 인연을 소중히 하고,스님들과 불사를 벌이는 일에도 주저하지 않았다. 이런 정황은 그의 다시들 곳곳에서 확인되며, 일견 모순되는 이런 불일치는 여말선초의 변혁기를 온몸으로 견뎌내야 했던 그의 삶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attern of drinking tea in the era of the last period of Goryeo and the early days of Chosun dynasty is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Since the change of dynasty, the ideas of ruling moved to confucianism from Buddhism. The style of drinking tea also followed the step of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s in that era. Therefore, it is the pivotal role to closely look at the changing pattern of tea culture through Mok Eun. Lee, Saek who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in that era. This study designed to follow his poems to find out any changes on the style of drinking tea. Four specified characteristics on his poems related with styles of tea drinking is identified as follows: Firstly, Lee, Saek fascinated with drinking tea in everyday his lives and a tea specialist affected by his father, Lee, Kok and a his teacher, Lee, Jae Hyun. He was also Eager to sequelize ‘Dabo’. It is not hard to find his outstanding features of tea specialist on his poems. Secondly, Lee, Saek had considerable insights in fields of Buddhism and Taoism. His poem showed his eagerness to the world of Taoist hermit and enlightenment while drinking tea and intimating with monks. It is said that Buddhism and drinking tea thrived in the era of Goryeo. Thirdly, Lee, Saek was a confucian scholar although keened to Buddhism and Taoism. That might be closely matched to his life that linked to Goryeo and Chosun. He practiced an act of confucianism and his poem that was Dawhosokyong(茶後小詠) and Jeondageoksa(煎茶卽事) showed the way of practicing confucianism and drinking teas. Lastly, Lee, Saek was a unique scholar who had lived two eras and having dualstyles of drinking tea through Goryeo and Chosun. Drinking tea in the era of Goryeo was more linked to the idea of reaching the spiritual realm that was expressed ‘flower teapot’ in his poem. In the other hand, small tea pot and boiling tea in the shabby small caldron was a metaphor in the way of practicing confucianism in daily lives. Peculiarly, Lee, Saek was a confucian scholar, although he had closely intimated with monks and had a discussion with them about the ideas of ruling. We need to understand that Lee, Saek lived in the era of Goryeo and Chosun those ruling ideas were tot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terestingly, the way of enjoying tea in daily lives were strongly affected by depending on the ruling ideas. Therefore, this study is the pivotal role to provide the style of drinking tea in two era through the poems of Lee, Saek.

목차

I. 서 론
Ⅱ. 이색의 시대상황과 생애
Ⅲ. 이색의 다시(茶詩) 세계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진미(Lee Jin-mee). (2017).麗末鮮初의 茶文化 樣相 硏究 - 牧隱 李穡의 境遇 -. 차문화산업학, 38 , 1-28

MLA

이진미(Lee Jin-mee). "麗末鮮初의 茶文化 樣相 硏究 - 牧隱 李穡의 境遇 -." 차문화산업학, 38.(2017):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