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수 및 강좌 특성에 따른 대학 강의평가 성취수준의 차이 분석

이용수 640

영문명
Analysis on Instructor and Course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in Achievement Levels of University Course Evaluation : Centering on position, course division, class size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지연(Lee Ji yeon) 이영주(Lee Yeong ju)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65輯, 189~21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 및 강좌 특성 변인에 따른 학기말 강의평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강의평가 결과를 준거점수인 성취수준(우수, 보통, 향상중점)으로 변환하여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때 강의평가 관련 선행연구 검토 결과와 연구자료의 특성을 고려해 직급, 이수 구분, 강좌 규모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성취수준을 구분하기 위한 분할점수 산출 과정에 학생 참여를 포함하여 학생의 기대수준이 반영된 강의평가 결과분석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분석 자료는 A대학교에서 2017년 1학기에 학기말 강의평가에 참여한 학생의 평정(총 69,824명)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상호교감’과 ‘평가의 공정성’은 향상중점으로 분류된 비율이 각각 32.9%, 32.2%로 매우 높았으나, 나머지 문항은 4.1~7.6%로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분할점수 산출 과정에서 학생들이 해당 영역에 대한 높은 기대수준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직급과 관련해 상호교감과 평가의 공정성 영역에서는 정교수, 이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는 시간강사가 향상중점으로 분류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수 구분에 따르면 강의계획서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교양 강좌가 향상중점으로 분류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강좌 규모에 따르면 대규모 강좌일수록 향상중점으로 분류된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100명 이상의 강좌에서 상호작용과 평가의 공정성에서 향상중점으로 분류된 비율이 각각 51.5%, 49.5%로 매우 높았다. 연구결과는 향후 정교수 및 시간강사, 교양 강좌, 대규모 강좌에 대한 직급별, 강좌별 맞춤형 교수법 지원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며, 강의평가의 형성적 목적달성과 수업촬영과 마이크로티칭 중심의 수업컨설팅 보완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course evaluation at the end of semester depending on instructor and course characteristics influencing course evaluation by converting the results into achievement levels(superior, intermediate, improvement), that is, criterion scores. Undergraduates participated in the calculation process of cut-off scores to divide achievement levels to analyze the results of course evaluation reflecting on students’ expectation level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using position, course division and class size that were thought to influence university course evaluation. For analysis data, 69,824 students from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course evaluation at the end of the first semester of 2017. As a result, 32.9% and 32.2% of the students classified ‘interaction’ and ‘fairness of evaluation’ to improvement, while only 4.1~7.6% classified the remaining items to improveme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showed high expectation levels in the areas during the calculation process of cut-off scores. As for the position, professors mostly classified interaction and fairness of evaluation to improvement, while part-time instructors mostly classified the other areas to improvement. As for the course division, liberal arts lecture excluding class syllabus were mostly classified to improvement. As for the class size, larger lectures were mostly classified to improvement than others, and especially 51.5% and 49.5% of lectures with over 100 students were classified to improvement in interaction and fairness of evalu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professors, part-time instructor, liberal arts lectures, and large lectures.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achieving formative goal of course evaluation and supplementing micro-teaching and class recording based class consulting.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연(Lee Ji yeon),이영주(Lee Yeong ju). (2017).교수 및 강좌 특성에 따른 대학 강의평가 성취수준의 차이 분석. 교육문제연구, 65 , 189-212

MLA

이지연(Lee Ji yeon),이영주(Lee Yeong ju). "교수 및 강좌 특성에 따른 대학 강의평가 성취수준의 차이 분석." 교육문제연구, 65.(2017): 189-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