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려전기 開城府의 변천과 지리적 범위

이용수 69

영문명
The changes and geographical range of Gaeseong-bu (開城府) in the early Goryeo dynasty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박종진(Park, Jong-Ji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57집, 167~19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고려전기 개성부의 변천과 정과 개성부의 지리적 범위를 정리한 것이다. 태조 2년 설치한 개주는 송악군이 개주의 중심, 곧 개경이 되고 강음현 송림현 개성군 덕수현 임진현 등 5개 군현이 개주의 영현이 되는 구조였다. 개주(개경)의 영현이 된 5개 단위 군현들은 개경과 가장 가까운 군현들이 고, 이들은 모두 개경에서 각 방면으로 가는 역로의 출발역이 있는 주요 지역 이다. 또한 이들 군현 중 송림현을 제외한 강음현 개성현 덕수현 임진현은 모두 예성강 조강 임진강 수로를 이용 하여 서로 교통할 수 있었다. 아울러이 지역은 대체로 왕건 선조들의 활동 무대이기도 하다. 995년(성종 14) 고려는 개주를 개성부로 개편하고 여기에 적현 6개와 기현 7개를 소속시켰다. 이로써 개경을 보위하는 특별구역이 6개의 단위 군현으로 구성된 개주에서 적현 6개와 기현 7개로 확대되었다. 적현 6개는 개경과 가까운 단위 군현인 개성현 덕수현 임진현 강음현 송림현 정주이다. 즉 적현에는 개주를 구성했던 6개의 단위 군현 중 수도 개경이 된 송악군 대신 정주가 포함되었다. 또 기현 7개는 적현의 바로 바깥에 위치한 장단현 임강현 마전현 적성현 파평현 토산현 우봉군이었다. 성종 14년 수도 개경을 보위하는 특별구역으로 편성된 개성부의 지리적 경계는 서쪽으로는 예성강, 남쪽은 조강, 동쪽은 임진강, 동남쪽은 감악산과 파평산을 잇는 산줄기까지였다. ‘적현지역’과 ‘기현지역’ 은 예성강과 임진강 수로를 이용할 수있는 범위이기도 하다. 현종 9년 ‘주현-속현 체제’를 근간 으로 하는 고려 지방제도의 기본 틀이 만들어지면서 개성부는 해체되고 ‘적 현지역’과 ‘기현지역’은 개성현과 장단 현을 주현으로 하는 ‘주현-속현 체제’ 로 재편되었다. 즉 개성현과 장단현에 현령을 파견하여 주현으로 삼고, 개성 현에는 강음현 덕수현 정주 등 3개의 군현을, 장단현에는 송림현 임강현 토 산현 마전현 임진현 적성현 파평현등 7개 군현을 속현으로 이속하였다. 이 때 ‘개성현지역’과 ‘장단현지역’은 京畿라 하여 중앙의 尙書都省에서 직접 관할하였다. 현종 9년 개편된 ‘경기 영역’의 지리적 범위는 적현 기현의 범위와 거의 일치한다. 즉 기현의 서북쪽 경계에 있던 우봉군만 그 북쪽의 주현이 된 평주의 속현으로 이속되었고 나머지 12개의 단위 군현들은 모두 경기에 포함되었다. 또 성종 14년에는 개경과 가까운 곳이 적현이 되고, 그 외곽이 기현이 되었던 것과 달리 현종 9 년 정해진 ‘개성현지역’과 ‘장단현지역’ 은 ‘경기영역’을 종단하는 커다란 산줄 기를 경계로 좌우로 구분되었다. 현종 9년 이래 개성현령과 장단현 령이 이끌던 ‘경기영역’은 문종 16년 개성현령이 지개성부사로 승격되면서 ‘개성부영역’으로 통합되었다. 이로써 지개성부사는 주현이자 계수관이 되었 다. ‘개성부영역’의 지리적 범위는 현종 9년의 ‘경기영역’에 평주의 속현이 었던 우봉군이 포함된 것으로 그것은 성종 14년 개성부에 속했던 ‘적현지역’ 과 ‘기현지역’이 합해진 범위와 같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chronicles the changes and the geographical range of Gaeseong-bu (開城府) in the early Goryeo dynasty. Goryeo dynasty, which began in the 2nd year of King Taejo’s (太祖) reign, moved the capital to the south of Songaksan Mountain (松嶽山) and set up Gae-ju (開州). Songak-gun (松嶽郡) became the center of Gae-ju (開州), or Gaegyeong (開京), and five gunhyuens (郡縣) - Gangeum-hyeon (江陰 縣), Songrim-hyeon (松林縣), Gaeseong-gun (開城郡), Deoksu-hyeon (德水縣), and Imjin-hyeon (臨津縣) - became Gae-ju s (開州) Ryeonghyeon (領縣). These five gunhyuens (郡縣), which became Ryeonghyeon (領縣) of Gae-ju (開州), were the closest gunhyuens to Gaegyeong. Also, these areas were the field of activity of the first king, Wang-gueon’s (王建) ancestors. In 995(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s (成宗) reign), the Goryeo dynasty reorganized Gae-ju (開州) to Gaeseong-bu (開城府) and attached six Jeok-hyeon (赤縣) and seven Gi-hyeon (畿縣) to expand the special district which supported Gaegyeong (開京). The six Jeok-hyeons were Gangeum-hyeon, Songrim-hyeon, Gaeseong-gun,Deoksu-hyeon, Imjin-hyeon, and Jeong-ju (貞州). The seven Gi-hyeons were Jangdan-hyeon (長湍縣), Imgang-hyeon (臨江縣), Majeon-hyeon (麻田縣), Jeokseong-hyeon (赤城縣), Papyeong-hyeon (坡平縣), Tosan-hyeon (兎山縣), and Ubong-gun (牛峯郡), which were located outside of Jeok-hyeon. The geographical boundaries of Gaeseong-bu (開城府) were Yeseonggang River (禮成江), Jogang River (祖江), Imjingang River (臨津江), and a range of mountains that connected Gamaksan Mountain (甘嶽山) and Papyeongsan Mountain (坡平山). Also, Jeokhyeon and Gihyeon were areas in the range that could use Yeseonggang River (禮成江) and Imjingang River’s (臨津江) waterways. In 1018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s (顯宗) reign), the Goryeo dynasty dissolved Gaeseong-bu (開城府) and reorganized it into “Juh-hyeon and sok-hyeon system,” (主縣 -屬縣 體制) which had Gaeseong-hyeon and Jangdan-hyeon as its Ju-hyeon (主縣/Primary unit). In other words, Goryeo made Gaeseong-hyeon and Jangdan-hyeon its Juh-hyeon by dispatching hyeonryeong (縣令) to them. Three gunhyuens (郡縣), such as Gangeum-hyeon, Deoksu-hyeon, and Jeong-ju, became Sok-hyeons of Gaeseong-hyeon. Also, seven gunhyuens (郡縣), such as Songrim-hyeon, Imgang-hyeon, Tosan-hyeon, Majeon-hyeon, Imjin-hyeon, Jeokseong-hyeon, and Papyeong-hyeon, became Sok-hyeons of Jangdan-hyeon. At that time, the Gaeseong-hyeon (開城縣地域) and Jangdan-hyeon (長湍縣地域) areas were named Gyeonggi (京畿). Gyeonggi was attached directly to Sangseodoseong (尙書都省), the central office. The geographic range of the Gyeonggi territory, which was reorganized in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s (顯宗) reign), corresponded closely with the geographic range of Jeokhyeon․Gihyeon. Also, the Gaeseong-hyeon and Jangdan-hyeon areas were separated by a big range of mountains that ran through the Gyeonggi territory. Gyeonggi territory was integrated into Gaeseong-bu Territory (開 城府領域) in 1062 (the 16th year of King Munjong’s (文宗) reign). With this, Jigaeseongbusa (知開城府事) became Ju-hyeon (主縣/Primary unit) and at the same time, Gyaesu-gwan (界首官). The geographic range of Gaeseong-bu (開城府) territory was the range that included Ubong-gun, which was Sok-hyeon of Pyueong-ju (平州), in the Gyeonggi territory in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s (顯宗) reign. That mirrored the geographic range of the Jeokhyeon and Gihyeon areas that belonged to Gaeseong-bu (開城府) in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s (成宗) reign.

목차

1. 머리말
2. 태조 2년 開州 설치의 의미와 그 지리적 범위
3. 성종 14년 개성부의 설치와 赤縣 畿 縣
1) 개성부의 설치와 적현 기현의 구성
2) ‘적현지역’과 ‘기현지역’의 지리적 범위와 특징
4. 현종 9년 京畿의 성립과 그 지리적 특징
1) ‘主縣 - 屬縣 체제’의 성립과 경기
2) ‘개성현지역’과 ‘장단현지역’의 지리적 특징
5. 문종 16년 개성부의 부활과 ‘개성부
영역’의 지리적 범위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진(Park, Jong-Jin). (2012).고려전기 開城府의 변천과 지리적 범위. 동방학지, 157 , 167-199

MLA

박종진(Park, Jong-Jin). "고려전기 開城府의 변천과 지리적 범위." 동방학지, 157.(2012): 167-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