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45~1950년 북한의 과학기술과 근로인민 형성에 대한 인식

이용수 106

영문명
The Recognition of Scientific Technologies and People-Making in North Korea, 1945-1950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이세영(Lee, Se-You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4집,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945~1950년 사이 북한에서 소련과 소련의 과학기술을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소련 과학기술의 수용이 근로인민의 형성에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북 분단 상황에서 정권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인민의 지지를 얻기 위하여 북한 정권은 소련을 통해 과학기술을 비롯한 선진문화를 배우고 수용하고자 하였다. 사회주의 소련의 경험은 북한이 유용하게 따라 배워야 할 대상으로 인식 되었다. 소련 또한 ‘후원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하기 위해 북한에 과학기술을 비롯한 문화를 전파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북한 정권과 지식인들은 소련 여행을 통해 소련에서 배워야 할 것이 무엇인지 정력적으로 관찰하였다. 그들은 소련의 문화와 인민의 모습 속에서 사회주의 제도의 우월성을 느꼈다. 또한 사회주의 제도 하에서만이 과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할 수 있고, 그러한 과학기술을 습득하면 북한의 인민도 소련처럼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들은 최첨단 공장에서 기계와 노동자가 혼연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로 사회주의 사회의 이상 형이라고 이해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북한 정권은 당면한 현실을 해결하기 위한 측면에서 과학 기술의 보급과 전파를 통해 인민을 ‘과학화’하고자 하였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종사하는 노동자 들에게 과학기술을 주입하여 부족한 기술인력을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산업현장 에서는 ‘기술공백’을 메우기 위한 고투 속에서첫 2개년 계획 기간에는 창의성을 발휘하는 노자가 가장 과학적인 근로인민으로 추켜세워 졌다. 분단 정부 수립 이후에는 노력합리화를 명분으로 하는 ‘소비에트 테일러리즘’의 도입이 본 격화되었다. 자신의 육체를 가장 과학적․합리 적으로 움직여 생산에 매진할 것이 노동자에게 요구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ay the acceptance of Soviet scientific technology has been associated with people-making in North Korea. North Korea has been trying to adopt the products of advanced cultures, including scientific technologies from the USSR, in order to promote the superiority of its regime in the process of the regime competi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s, and to make people acknowledge the legitimacy of its rule. North Korea saw the successful regime construction of the USSR as a model, and the USSR also worked on spreading its scientific technology and culture as “prototypes” in order to consolidate its status. North Korea’s leaders and intellectuals observed the USSR enthusiastically, as they felt that the Soviet people and culture reflected the superiority of socialism. Moreover, they believed that North Koreans could become “new men” by accepting the country’s scientific technology. They realized that creating a harmonious whole between machines and workers in high-tech factories was the ideal type of socialist society. However, due to the condition of North Korea, they tried to “make people scientific” by supplying and spreading scientific technologies. They believed that learning scientific technologies could support workers on industrial sites. Workers were therefore perceived as the most exemplary people during the two-year plan of 1947 and 1948.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divided government, “Soviet tailorism”, which promoted the most rational and scientific form of production by focusing on the body, was required for industrial labor, and was introduced in earnest to justify rationalization efforts

목차

1. 머리말
2. 해방 후 과학기술 진흥 과제와 ‘후
원자’로서의 소련
3. 소련 인민과 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인식
4. 산업현장에서의 ‘과학적’ 인민 만들기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세영(Lee, Se-Young). (2016).1945~1950년 북한의 과학기술과 근로인민 형성에 대한 인식. 동방학지, 174 , 1-31

MLA

이세영(Lee, Se-Young). "1945~1950년 북한의 과학기술과 근로인민 형성에 대한 인식." 동방학지, 174.(2016):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