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소학의 磁場과 變容 * – 小學枝言, 士小節을 중심으로 –

이용수 133

영문명
The Influence and Adaptation of Elementary Learning (小學), as a Late Chosŏn Dynasty Neo-Confucian Text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정호훈(Jeong, Ho-Hu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4집, 101~13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에서 小學은 주자학의 사회적 확산을 이끄는 기본 서적이었다. 조선의 위정자와 학자 들은 건국 이래 이 책을 쉽게 익힐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여 여러 종류의 주석서, 번역서를 마련하고 보급하였다. 17세기 후반 이후 로는 李珥가 재구성한 小學集註가 소학 학습의 기본 도서가 되었다. 18세기를 지나면서 학계 일부에서는 소학 을 보완하거나 넘어서려는 분위기가 만들어졌 다. 그 흐름은 소학 원문에 대한 새로운 주석을 모색하는 노력, 소학의 체재를 활용하여 조선의 역사와 현실로부터 소학을 재구성하는 경우, 소학과는 다른 체재와 내용을 지닌 代替 규범서를 마련하는 움직임으로 대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보다 창조적인 학술 성과를 드러낸 활동은 첫 번째, 세 번째였다. 이 글에서는 丁若鏞의 小學枝言, 李德懋의 士小節을 통해 그 구체적인 모습을 살폈다. 어느 경우든 주자학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으나, 논자들은 중국에서 만들어진 소학 이 조선 현실에서 시의성이 떨어지므로 이를 보완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 이 일을 수행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이 시기 주자학의 사유체계를 넘어서려 백방으로 노력하던 학계의 한 모습이 기도 했다. 여전히 소학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상황 위에서, 소학의 세계를 탈각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조선 사회에 팽팽한 긴장을 조성했으 며, 이 과정에서 小學과 脫小學의 길항은 창조적 공간을 만드는 동력으로 작용했다. 새로운 소학을 만들자는 조선 사회의 지향은 19세 기 말에 이르면 ‘小學’이라는 이름은 그대로 빌리지만 내용은 완전히 달라진 ‘소학’ 교과서를 편찬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영문 초록

Elementary Learning was a foundational book that drove the social proliferation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Chosŏn Dynasty. In terms of understanding Neo-Confucianism, this book greatly appealed to Chosŏn scholars as a text designed for children to learn the principles of society management based on adult norms. Therefore, in seeking an easy way for people to study the book, a variety of commentaries and translations have been disseminated since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From the latter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Collected Commentaries of Elementary Learning became the foundational textbook for the study of Elementary Learn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the need to seek a new Elementary Learning emerged. This movement can be generally divided into the search for a new commentary on the original text of Elementary Learning, the recomposition of Elementary Learning using the original format to address the realities of Chosŏn[Sohak Jeon (小學枝言)], and the preparation of a substitute textbook from Elementary Learning.[Sasojeol (士小節)] Although none of these endeavors completely broke free from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 ideology, scholars consciously sought to remedy the loss of relevance of Elementary Learning, which had been composed in China, to the realities of Chosŏn. This could be regarded as the interconnection of the movement and the weakening of the thought system of contemporary Neo-Confucianism.

목차

1. 머리말
2. 조선의 소학 텍스트와 그 磁場
3. 소학 텍스트의 變容과 脫殼
1) 통용 소학 주석본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새로운 해석
2) ‘脫小學’의 성과와 텍스트 특성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호훈(Jeong, Ho-Hun). (2016).조선후기 소학의 磁場과 變容 * – 小學枝言, 士小節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174 , 101-135

MLA

정호훈(Jeong, Ho-Hun). "조선후기 소학의 磁場과 變容 * – 小學枝言, 士小節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174.(2016): 101-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