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일 설화 채집 ․ 분류 ․ 연구사로 본손진태 조선민담집의 의의

이용수 85

영문명
Assessment of Sohn Jin-Tae s Chosun folk tale collection as a collection of folktales, and its classification and study in Korea and Japan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광식(Kim, Kwang-Sik)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6집,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 설화학의 성립과 발전이 설화의 본격적 채집과 분류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한일 설화의 채집․분류․연구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 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근대 한일에서 전개된 다양한 주체에 의한 설화 채집 상황을 비교 검토 하였다. 일본문부성과 조선총독부가 1910년 전후에 실시한 구비문학 조사는 프랑스․독일의 움직임에 반응한 것으로, 직접 채집 방식이 아닌 교육기관에 시달해서 교원과 학생을 동원해 자료를 보고토록 하는 간접 수집 방식의 전형이었 다. 남창 손진태(1900~?)는 이러한 방식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20년대 필드 워크를 통해 민간 설화를 다수 채집해 1920년대에 그 작업을 집대성했음을 명확히 했다. 본고에서는 조선총독부 및 일본인 연구자가 시도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뛰어넘은 손진태의 업적과 그 시대적 한계를 검토하였다. 선행연구 에서는 손진태 자료집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일본어로 작성된 사실, 지식인을 포함한 제한된 제보자와 지역 편중의 문제, 설화 분류방식의 불합 리성을 지적했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문제를 재검토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다뤄 지지 않은 채록 시기의 문제와 권말에 수록된 부록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 조선 민간설화의 연구 집필 시에 제시된 문헌 인용 자료와 조선민담집 부록에 추가된 문헌을 비교 검토하여, 설화 연구의 발전 양상을 분석하였고, 1920년대 수차례에 걸쳐 추가된 내용이 해방 후에 출간된 조선 민족설화의 연구에는 일체 반영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손진태는 1929년 4월, 조선 민간설화의 연구 15회 연재를 마친 직후에 조선 고가요를 일본어로 번역한 조선고가요집(朝鮮古歌謡集)(1929)을 발간 하고, 잡지 신생, 신민, 민속학(民俗學) 등에 자주 투고하며 이듬해 1930년 향토연구사에서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과 조선민담집 을 간행했다. 1920년대 전개된 손진태 비교 설화 학은 조선민담집의 자료편으로 일단 완결되었 다고 할 수 있다. 본론에서 명확히 했듯이 손진태의 설화 연구는 1921년 일본 유학 이후, 민속학과 문화인류학 을 수학하면서 향토애에 기초해 근대 이후 급격히 사라져 가는 민담을 집대성해야 된다는 관심과 사명감에서 시작되었다. 식민지시기에 조선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설화학을 전개한 손진 태는 해방 후, “조선의 민속 문화는 요원한 고석 (古昔)으로부터 결코 고립한 문화가 아니요 실로 세계문화의 일환으로 존재하였다”고 지적하 였다. 해방 후에 손진태는 세계문화와 소통하는 보편적 설화학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우리 문화를 이해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1920년대에 전개된 손진태 설화 연구의 성격을 여실히 반영한 것이라는 점에서 이 시대의 고전으로서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folktale studies started from the collection of folktales and their classification. This study considers the history of the collections of folktales performed in modern Korea and Japan. Although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vestigated the oral literature in the 1910s, the collection was made in directly. Later, Sohn Jin-Tae (孫晉泰, 1900-?) collected folktales through fieldwork in the 1920s. This research considers the achievement of Sohn Jin-Tae and its time limit. As the work was published in Japanese, and limitations from the informant and the canvased area were pointed out.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from Sohn Jin-Tae’s position as an outsider specifically. To this end, it considers the time of the collection and the contents of the appendix to the Chosun folk tale collection (朝鮮民譚集, 1930). Its developed aspect was elucidated by comparing Sohn Jin-Tae thesis and the inclusion of an appendix. Sohn Jin-Tae considered Korean old songs, god s songs, and folktales in the 1920s. The appendix was Sohn Jin-Tae’s conclusion. He clearly insisted more on universal studies of folktales than on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identity through folktales. I would like to consider folktale collections and, their classification and study after 1930, including that of Sohn Jin-Tae’s

목차

1. 머리말 - 근대 설화의 채집과 분류, 연구
2. 한일 설화의 채집과 그 의도
3. 손진태 조선민담집의 선행연구
4. 조선민담집의 ‘문제점’ 재검토
5. 1920년대 연구의 총결산으로서의 권말 부록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광식(Kim, Kwang-Sik). (2016).한일 설화 채집 ․ 분류 ․ 연구사로 본손진태 조선민담집의 의의. 동방학지, 176 , 1-26

MLA

김광식(Kim, Kwang-Sik). "한일 설화 채집 ․ 분류 ․ 연구사로 본손진태 조선민담집의 의의." 동방학지, 176.(2016):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