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충렬왕대 ‘衣冠改變令’ 반포와 國俗의 보존

이용수 133

영문명
The Proclamation of the “Ordinance of Attire Reform” and the Preservation of National Traditions under King Ch’ungnyŏl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윤정(Kim, Yun Ju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6집, 57~9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高麗史에 실린 1278년(충렬왕 4) 2월의 “令境內皆服上國衣冠”이라는 기사에 주목하여, 이러한 조치가 반포된 배경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고려와 원 관계 속에서의 ‘國俗’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몽전쟁기부터 고려에 소개되기 시작한 ‘韃靼의 衣冠’은 강화 이후 譯官과 使臣 등 대원외교 담당층을 중심으로 수용되었으나, 몽골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원 의관에 대한 거부감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충렬왕 즉위 이후 왕을 비롯한 지배층들의 적극적인 착용과 원의 영향력 증가로 이러한 분위기가 전환되었고, ‘衣冠改變令’ 이 반포되어 모든 관인이 開剃辮髮을 하고 公服 에 몽골식 笠과 胡服을 도입함으로써 이후 13~14세기 관인의 집무복으로 자리잡았다. ‘의관개변령’의 반포 배경에는 원과의 신뢰관 계 구축이라는 대외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었다. 禿魯花, 親朝, 通婚이 이루어지고 고려의 官制 및 왕실 용어가 제후국 체제로 강등되는 등 원과의 위계질서를 직접 확인하게 되었다. 더욱이 고려․고려국왕의 지위가 원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으나, 충렬왕 즉위 직후까지 고려 내의 원관인들로 인하여 양국관계는 불안정하였다. 이에 고려는 국왕의 친조를 통하여 이러한 국면을 해결하고자 하였고, ‘의관개변령’을 친조 직전에 반포함으로써 원과의 우호적 관계 구축을 위한 가시적인 효과를 도모한 것이었다. 고려의 의관 개변은 역설적으로 원으로부터 ‘不改土風’을 재확인받는 계기가 되었고, 한편으 로는 국속에 다소간 개변을 함으로써 고려의 외교적 실리를 취하기 위한 조치라는 점에서 국속의 유연성을 보여준다. 오히려 元人이 고려의 풍속이 변화시키려는 상황에서 국속이 호명되고, 원과의 상화관계가 강화됨에도 원과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국초부터의 황제국 체제 의관을 고수함으로써 국속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는 고려의 국속이 원만한 대원관계를 유지 하며 고려의 사직을 보존하기 위한 능동적인 것 임을 보여준다. 즉, 외적인 상황에 따라 국속의 형태가 변화할 수 있는 동시에 내적으로 국속 보존에 대한 의식이 복류하고 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이후 양국관계의 변화 및 고려 國體의 위협 상황에서 점차 공고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令境內皆服上國衣冠” article of the Koryŏsa and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and significance of the proclamation of this ordinance,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national traditions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yŏ and Yuan regimes. Despite some resistance against the attire because of negative sentiments toward the Mongols, the use of the Mongol attire was initially disseminated among diplomatic groups. However, after the crowning of King Ch’ungnyŏl, these attitudes began to shift, as the attire became commonly worn by the ruling classes. After the “Ordinance of Attire Reform” was proclaimed, all government officials were required to adopt the Mongolian hair style, and public officers were dressed in Mongolian hats and Mongolian clothing (hobok), thereby establishing Mongolian clothing as the official government uniforms of the 13th and 14th centuries. The proclamation of the Ordinance was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a diplomatic need to establish trust with the Yuan. Under the hierarchical sovereign relationship between Koryŏ and Yuan, Yuan officials within Koryŏ often caused tensions between the two nations. Koryŏ sought to alleviate this issue with the practice of delegated native rule, and the Ordinance was proclaimed as a visible attempt to establish amicable relations under this native rule. The Ordinance demonstrated the flexibility of national traditions, as it used these national traditions for the diplomatic benefit of Koryŏ. As the relations with the Yuan stabilized and conflicts were culled, the nation maintained the traditions upheld from its foundation by adhering to the practices of imperial clothing.

목차

1. 머리말
2. 元 복식문화의 수용과 ‘衣冠改變令’ 반포
1) 원 복식문화의 소개와 開剃辮髮․ 胡服 착용 논란
2) ‘의관개변령’의 반포와 冠服 변화
3. 우호적 麗․元관계의 구축과 國俗의 보존
1) 의관 개변과 우호적 여․원관계의 구축
2) ‘不改土風’ 확인과 국속의 보존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윤정(Kim, Yun Jung). (2016).충렬왕대 ‘衣冠改變令’ 반포와 國俗의 보존. 동방학지, 176 , 57-92

MLA

김윤정(Kim, Yun Jung). "충렬왕대 ‘衣冠改變令’ 반포와 國俗의 보존." 동방학지, 176.(2016): 57-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