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목민심서(牧民心書)를 통해 본다산 정약용의 지방운영의 정치적 논리와 특징

이용수 201

영문명
The Political Logic and Characteristics of Provincial Administration in Jeong Yag-yong’s Mongmin Simseo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백민정(Baek, Min-Jeo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6집, 185~223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는 그의 다양한 텍스트들 가운데 가장 큰 관심과 호응을 받은 책이다. 목민심서는 정치가로서 유학자의 이상과 포부, 현실인식을 담은 일종의 정치철학서라고 할 수 있다. 이 텍스트에는 중앙 정부에서 파견된 지방 수령(목민관)이 주인공으로 등장한 다. 또한 지방관청의 하급관리[鄕吏], 학식과 인품으로 이름난 지방사족[士族․鄕丞․鄕任], 지방학교[鄕校]의 교수들[校任․齋任], 일반 농민 [小民]과 이들의 한시적인 대리자[鄕甲] 등, 다양한 신분과 계층의 구성원들이 등장한다. 다산은 목민심서에서, 재물욕과 권력욕을 가진 평범한 인간 군상의 갈등과 대립, 공모관계, 권력 견제를 위한 상호 감시와 염탐 현장을 생동감 있게 포착했다. 유학자 관료였던 정약용은, 지방운영에서 정치적 권위의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정당한 권위에 근거하지 않은 목민관의 권력은, 일반 백성의 탐욕과 다를 것이 없었다. 이 때문에 그는 청렴함, 절제력에 기반한 지방관리의 도덕과 인품을 중요한 권위의 근거로 내세웠다. 관직․ 나이․인품(도덕성)은, 유교 사회에서 정치적 권위를 인정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우대 기준이 었다. 정약용도 관직과 인품 유무에 따라서, 구성원을 차등적인 위계질서로 재배치했다. 정치적 권위를 확보한 목민관은, 구성원의 갈등과 분쟁을 조절할 수 있는 판관 혹은 중재자였고 지방 향촌의 실질적 정치 주체였다고 볼 수 있다. 정약용은 인성론에서 누구나 효제(孝悌) 덕목을 실천하는 윤리적 주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윤리덕목을 표현하는 예제(禮 制)와 법조문을 직접 만들고 변경할 수 있는 정치적 권한은, 목민관을 포함한 소수 관료에게만 허용되었다. 이것은 도덕성만으로 확보되는 자격이나 권한이 아니었다. 다산은 유학자로서 도 덕성을 정치적 권위의 중요한 근거로 내세웠지 만, 제도를 변경할 수 있는 실질적인 권한은 다른 곳에 있었다. 그는 수령을 정치 주체로 간주한 것과 달리 하급관리, 선비와 소민을 수령과 대등한 정치 주체로 보지 않고, 교육하고 계몽해야 하는 대상으로 간주했다. 다양한 욕망을 지닌 목민심서 속 인물들을, 권력을 둘러싸고 갈등 하며 경쟁하는 존재들로 재조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mong Jeong’s works, Mongmin Simseo has elicited the most interest. This book of political philosophy reflects a Confucian politician’s ideals and awareness of reality. Its protagonist is a provincial magistrate, and the text also features figures from various classes: lower functionaries working for provincial governments, learned, upright aristocrats, government school professors, and peasants and their representatives. It captures the conflicts and collisions between humans seeking wealth and power. For Jeong, a Confucian official, the securing of political authority was indispensable for provincial administration. When not based on legitimate authority, magistrates’ power equaled commoners’ avarice. Consequently, he presented morality and character as important grounds for magistrates’ authority. A governmental post, age, and character were the key criteria for preferential treatment, whereby political authority could be acknowledged. Likewise, Jeong rearranged his figures into a differential hierarchy according to their possession of a governmental post and their character. Magistrates who secured political authority became arbitrators capable of regulating disputes. They were de facto political subjects. In Jeong’s theory of human nature, anyone could become an ethical subject by practicing filial piety and fraternal devotion. However, only a minority of officials, including magistrates, had the authority to create and revise the ritual regulations and legal provisions. For him, magistrates and lower functionaries,aristocrats and peasants, were political objects to be educated, not equal political subject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정치 주체로 본 목민관과 이민(吏 民)의 관계
1) 목민관의 여론 수집과 향리(鄕 吏)․향민(鄕民)의 간여
2) 염탐과 밀정, 권력 견제의 양상들
3. 지방 향촌의 정치적 위계질서와 권위의 근거
4. 목민관의 역량과 정치적 권한의 행사
5.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민정(Baek, Min-Jeong). (2016).목민심서(牧民心書)를 통해 본다산 정약용의 지방운영의 정치적 논리와 특징. 동방학지, 176 , 185-223

MLA

백민정(Baek, Min-Jeong). "목민심서(牧民心書)를 통해 본다산 정약용의 지방운영의 정치적 논리와 특징." 동방학지, 176.(2016): 185-2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