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왕조 개창의 형식과 논리 * – 禪讓論과 추대 사실의 검토

이용수 365

영문명
A Study on the Form of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오수창(Oh, Soo-Chang)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6집, 93~12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1392년 이성계의 즉위, 즉 조선왕조 개창이 공양왕의 선양으로 이루어졌다는 설명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도 공양왕이 이성계에게 선양했다는 기술이 없었던 것은 아니며 공양왕이 왕위를 양보한 듯한 인상을 주는 서술도 많다. 하지만 고려말의 정국과 이성계의 즉위 과정에서 공양왕의 선양 행위가 끼어들어 갔을 여지는 없다. 선양했다는 자료도 물론 확인 되지 않는다. 공양왕은 죄인으로 폐출되었던 만큼 그에게서 왕위를 물려받는다는 것은 논리적 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었다. 공양왕이 선양하였 다는 소수의 기록은 개인적 수준의 역사왜곡이 거나 시간이 오래 지난 후 빚어진 조선왕조 건국에 대한 미화였을 따름이다. 조선시대 인사들이 태조의 왕조 개창을 논의할 때 중심을 이룬 것은 인심과 천명이 다한 고려의 마지막 왕을 이성계가 추방했다는 사실이었다. 세종은 태조의 행적을 정벌이라고 규정했고, 영조와 신하들은 정벌을 강조하지는 않았지만 조선왕조 개창이 ‘자립’이었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였다. 이성 계의 즉위 및 조선왕조 개창은 ‘추대’의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왕실의 교체가 정당하다는 근거를 근원적으로 인심의 향배에서 찾았다. 이후두 차례의 반정에서 다시 확인되듯이, 신하들이 국왕을 추대하고 이념과 체제에 어긋나는 국왕 을 교체할 수 있다는 논리는 조선의 정치현실그 자체였다.

영문 초록

The prevailing current explanation is that King Taejo(Yi Seong-Gye. 1335∼1408 r 1392∼1398), founder of Joseon dynasty, came to the throne when the last king of Goryeo dynasty abdicated,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by his own accord. However, this was not the case. There was no time for a rite of resignation and succession, and no records have been found referring to the abdication of Goryeo s king. The last king of Goryeo was deposed as a criminal and expelled from the capital, so it was not justifiable for the Joseon dynasty to inherit the Goryeo crown. Politicians and intellectuals of the Joseon period believed that King Taejo vanquished the last king of Goyeo, who had lost both his people s support and the mandate of Heaven. As for the logic and form of the founding of Joseon dynasty, it was through the selection and support of the new king by the powerful elite. It was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Joseon period that subjects could have someone found a new dynasty and replace a king who did not follow their political system.

목차

1. 머리말
2. 조선시대의 禪讓․放伐 논의
1) 선양론
2) 放伐․自立論
3. 禪讓論의 재검토
1) 이성계의 즉위 과정
2) 오류의 원인
4. 推戴의 주체와 논리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수창(Oh, Soo-Chang). (2016).조선왕조 개창의 형식과 논리 * – 禪讓論과 추대 사실의 검토. 동방학지, 176 , 93-120

MLA

오수창(Oh, Soo-Chang). "조선왕조 개창의 형식과 논리 * – 禪讓論과 추대 사실의 검토." 동방학지, 176.(2016): 93-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