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天文學兼敎授의 활동과 그 의미

이용수 118

영문명
Activity and Significance of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天文學兼敎授) in the Late Joseon Period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경석현(Kyung, Seok-Hyu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6집, 121~15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천문학겸교수는 조선왕조의 관상감 운영체계가 경국대전 단계에서 서운관지 단계까지 계기적으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출현하였다. 이들은 문과에는 합격하지 못했지만 문신에 버금가는 家格과 학문적 소양을 갖춘 자로서, 특히 천문학에 조예가 깊어 특채 형식으로 뽑힌 사대부 출신의 천문학 전문가였다. 공식적인 절차 없이 추천으로 선발되었고, 또 정해진 근무일수를 채우면 동반의 참상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특혜도 있었다. 천문학겸교수는 비교적 늦은 나이에 출사하여 군직을 받고 천문학겸교수로 활동하다 가 동반 정직으로 승육해 나가는 거의 패턴화 된관직활동을 하였다. 그러면서도 천문학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며 성과를 냈다. 혼천시계를 제작한 송이영과 천동상위고를 집필한 최천벽이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천문학겸교수였다고 할수 있다. 17세기 중반 이후 가격과 실력이 낮은 천문학겸교수가 늘어난다는 지적으로 천문학겸 교수의 직제는 정비되었다. 실력이 우수한 천문 학겸교수의 지속적인 확보를 위해 정원을 1원에서 3원으로 늘리되, 증설한 2명은 임명절차를 보다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비되었다.

영문 초록

The post of astronomy adjunct professor emerged du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Bureau of Astronomy(Gwansanggam)’s operating system, which developed from Gyeonggukdaejeon into Seowoongwanji.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were scholars from good families who demonstrated academic accomplishments, although they did not have to pass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y entered the government’s service through a special employment program following recommendation from a high office for their expertise in astronomy. After a period of time, they wer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for promotion as a Chamsangjik of Civil Officials(Dongban). At a relatively late age, they entered the government’s service for the first time as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and patterned civil service activities. They demonstrated their abilities as great astronomers, and achieved good results. Song Lee-yong, who produced the armillary clock, and Choi Cheon-byeok, who wrote a Cheondonggangwigo, are two representative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of the late Joseon. From the mid-seventeenth century, the abilities of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declined, causing a modification of the astronomy adjunct professor system. The procedures for the appointment of astronomy adjunct professors were strengthened, and the number of appointees was increased from one to three in order to be sure to have a capable astronomy adjunct professor.

목차

1. 머리말
2. 천문학겸교수의 기원과 등장
1) 조선 초기 雜學에 대한 이중적 인식과 잡학 정책의 한계 - 천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
2) 사대부 출신의 천문학 전문가, 천문학겸교수의 등장
3. 천문학겸교수의 활동 양상
1) 천문학겸교수의 入仕와 관직활동
2) 천문학겸교수의 전문성과 활동성과
4. 천문학겸교수의 직제 정비
1) 직제 정비의 배경
2) 천문학겸교수의 정원 증설
3) 천문학겸교수의 임명절차 강화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경석현(Kyung, Seok-Hyun). (2016).조선후기 天文學兼敎授의 활동과 그 의미. 동방학지, 176 , 121-152

MLA

경석현(Kyung, Seok-Hyun). "조선후기 天文學兼敎授의 활동과 그 의미." 동방학지, 176.(2016): 121-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