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의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7

영문명
Effects of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on Mobile Phone Depend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김경호(Kyung Ho Kim)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52권, 171~19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특히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이 보호요인으로 기능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휴대전화 의존 문제와 관련된 개입방안의 마련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 자아존중감, 휴대전화 의존 사이의 매개효과 관계를 가정하는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조사의 중1패널 제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높을수록 휴대전화 의존이 더 심각하였다. 둘째, 중학생의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다. 셋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휴대전화 의존이 더 낮았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와 휴대전화 의존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변수로 기능하고 있다. 끝으로, 이상의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개입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특히 올바른 휴대전화 이용 교육과 자아존중감의 제고에 개입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mobile phon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ol and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link between effects of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on mobile phone depend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3rd wave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proposed structural model in relation to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self-esteem, and mobile phone dependency was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Second,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mobile phone dependency. Third, self-esteem c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mobile phone dependency. Fourth, self-esteem could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and mobile phone dependency. Final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coping with the mobile phone dependency problem as well as enhancing self-este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호(Kyung Ho Kim). (2017).중학생의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2 , 171-197

MLA

김경호(Kyung Ho Kim). "중학생의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2.(2017): 171-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