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위기중증도 분류척도의 신뢰도 향상에 대한 연구

이용수 257

영문명
The optimal measurement condition of the crisis triage scale : The application of the generalizability theories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김민석(Min Seog Kim)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25권, 83~11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위기중증도 분류척도는 정신과적 응급상황에 처한 환자 중에 외래위기개입이 가능한 환자와 입원이 필요한 환자를 구분해주는 척도이다. 이 척도는 급박하고 혼란스러운 정신과적 응급상황에서 면접의 초점을 유지하게 해주고 신속한 개입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척도의 예측타당도는 건전한 편이지만 신뢰도는 빈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 반화가능도 이론에 근거하여 이 척도의 측정오차를 상세히 파악하여 신뢰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S기관의 위기전화상담을 요청한 136명을 대상으로 4명의 정신보건전문가들이 평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척도의 통상적인 사용 방식 하에서 나타나는 의존도계수는 0.572이었다. 기준점수를 9점으로 설정하고 평정자 2명, 문항 3개를 이용할 경우 이 척도의 신뢰도는 빈약하다. 둘째, 입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판단에 소요되는 시간은 22분 이내가 바람직하다. 셋째, 신뢰도의 향상을 위해선 기준점수를 낮추어야 한다. 넷째, 평정자간의 판정기준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직종과 경력수준의 차이에 따른 평정자간의 불일치는 적은 편이었다.

영문 초록

The crisis triage rating scale is a brief rating scale developed to screen emergency psychiatric consumers rapidly. It differentiates between consumers who require hospitalisation from those who are suitable for outpatient crisis intervention treatment,. Moreover, the scale can make practitioners to keep the focus of their attention during the psychiatric emergency interview which both practitioners and patients can feel confused and imminent. The scale can be useful in predicting whether hospitalisation would be required, for example, a patient scoring below 9 requires hospitalisation; those scoring above 9 another intervention could be recommended.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crisis triage rating scale had a difficulty in doing the reliable measuremen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ource of the measurement error underlying in the crisis triage rating scale and recognized the optimal measurement condition by employing the generalizability theories. The subjects were one hundred thirty six callers who used crisis hotline service at a commnity mental health center in Seoul and raters were four practitioners who had attended in this agency. According to data analysis, it was appear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is low when the cut-off score is 9, the number of raters is 2, and the number of items is 3. Dependability coefficient is 0.572 with the usual administration of the scale. When it uses below 22minutes to make decision through the scal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ill be improved. In addition, the cut-off score must be lowered to improve it. There were little difference between raters in terms of their evaluation criterion. It is recognized that the type of occupation and the year of work experince had little effect on the level of the disagreement between raters.

목차

I.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석(Min Seog Kim). (2010).위기중증도 분류척도의 신뢰도 향상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5 , 83-114

MLA

김민석(Min Seog Kim). "위기중증도 분류척도의 신뢰도 향상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5.(2010): 83-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