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 타당화 및 관련 변인 분석

이용수 1409

영문명
Validation and Analysis of a Human Rights Sensitivity Scale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박혜숙(Park, Hye-sook) 양상희(Yang, Sang-he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56집, 33~5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문용린 외(2002)가 개발한 인권감수성 척도를 대한민국의 지방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을 살피고, 인권감수성 수준에 관련되는 성별, 학년, 인권관련 교육경험, 지각된 대한민국 사회의 인권의식수준, 세계시민정체성, 공동체의식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인권감수성 척도점수 사용의 타당성을 점검하고자 탐색적 요인분석, 다특성다중방법, Rasch 척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권감수성 관련 문항만으 로 구성된 척도가 인권감수성과 비인권감수성 차이점수를 이용하여 개발한 척도보다 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학년, 인권교육경험, 세계시민정체성, 지각된 한국인의 인권수준, 및 공동체 의식은 인권감수성 요소와 독특한 관련성을 보였다. 세계시민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은 경우,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권과 환경권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다. 해당 정보는 인권교육 및 인권감수성제고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학년과 인권감수성 관계를 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다른 변수를 공변인으로 한 MANCOVA결과에서도 공동체의식은 유의미한 공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로 공동체의식 제고는 다문화 및 세계화시대에 인권감수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validated a human rights sensitivity scale developed in 2002 by Mun Young-Rin et al. Using a local university student sample in the Republic of Korea, it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analyzed possible correlates such as gender, year-in-school experience, human rights-related education experience, perceived level of Korean society’s human rights consciousness, identification with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sense of community. Results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trait–multimethods, and a Rasch measurement model indicate that using the sum of human rights-sensitive individual item mean scores for each individual episode in the survey is more valid than using difference scores obtained by deducting human rights-irrelevant item scores from human rights-sensitive items for each individual episode as suggested by Mun et al. The study found that elements of individual scale scores were distinctively associated with gender, year-in school, experie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identification with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perceived level of Korean society’s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sense of community. The information obtained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college students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In particular, based on MANCOVA results emphasizing sense of community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variat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analysis indicates that enhancing sense of community is crucial for enhancing human rights sensitivity in a multicultural and globalized society.

목차

I. 도입
Ⅱ. 관련 문헌 연구
III. 연구방법
IV. 결과
V. 요약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숙(Park, Hye-sook),양상희(Yang, Sang-hee). (2017).대학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 타당화 및 관련 변인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56 , 33-58

MLA

박혜숙(Park, Hye-sook),양상희(Yang, Sang-hee). "대학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 타당화 및 관련 변인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56.(2017): 3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