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거운동에 대한 한국 유권자들의 반응 연구

이용수 300

영문명
Korean Voters’ Reaction to an Election Campaign Using Big Data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학량(Kim, Hak-ryang)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56집, 57~7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유권자들이 자신이 인터넷 뉴스,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에 남긴 댓글 등을 후보자가 선거운동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 한국유권자 전체와 정치성향별, 연령대별, 성별, 거주지별, 학력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비례할당을 통해 추출된 표본 1,000개의 전화여론조사에 근거하고 있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과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한국유권자의 과반수이상인 56.5%는 자신들이 SNS 등에 남긴 댓글 등을 후 보자가 활용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아직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거운동이 제도화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연령대에서는 20대와 30대만이 후보자가 자신의 정보 활용 동의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습관적 사용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20대보다 SNS 등을 적게 사용하지만 실용적 사용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30대가 자신의 정보 활용에 동의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에서는 도시거주자와 농어촌거주자가 자신의 정보 활용 동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간의 동질성때문에 소통을 많이 하여 실용적 사용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농어촌거주자가 도시거주자보다 자신의 정보 활용에 동의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성향, 성, 학력은 후보자가 선거운동에 자신의 정보 활용 동의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Korean voters think about candidates through information or opinions they left on SNS. For this study, a telephone survey of Korean adults was conducted in 2015. The total sample of the survey of 1,000 was proportionally extracted by gender, age, and region.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in this study a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ross-tabulations. The results show that 56.5% of Korean voters do not agree that candidates use the information or opinions they left on SNS. It means that election campaigns based on big data may not yet be possible. In the analysis by age group, onl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turn out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ndidates using their information on SNS. Since people in their 30s have a higher rate of practical use of SNS than those in their 20s, they agree candidates use their information or opinions they left on SNS more than individuals in their 20s. In the analysis by residence, both urban and rural residents turn out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ndidates using their information on SNS. Since rural residents have a higher rate of the practical use of SNS than urbanites, they agree candidates use their information or opinions they left on SNS more than urban residents. In the analysis of political orientation, sex and education, they all turn out to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ndidates using their information on SNS.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및 논의
III. 분석의 틀
Ⅳ. 분석의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학량(Kim, Hak-ryang). (2017).빅데이터를 활용한 선거운동에 대한 한국 유권자들의 반응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56 , 57-75

MLA

김학량(Kim, Hak-ryang). "빅데이터를 활용한 선거운동에 대한 한국 유권자들의 반응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56.(2017): 57-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