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사교육과 박물관 역사 전시의 만남

이용수 281

영문명
Educational Encounter of History and Museum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강선주(Kang Sun Joo)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16호, 7~3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1.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문 역사가, 역사 교육인 뿐 아니라, 다양한 단체와 개인이 ‘의도적이든’, 혹은 ‘비의도적이든’ 역사를 교육하는 주체로 나서고 있다. 대중적 역사교육 주체가 다양화되면서 이러한 주체들이 역사를 어떤 방향에서 가르치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주체들이 생산 혹은 소비하는 역사의 특징은 무엇이고, 또 역사교육의 방향은 어떤 것인가? 학교는 이러한 주체들이 제시하는 역사물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본고에서는 이 질문을 ‘박물관’이라는 주체를 중심으로 생각해 보고자 한다. 박물관의 역사 전시는 역사교육과 정체성 확인, 인간이해 확대, 창의성, 역사적 사고의 발달, 역사의식의 심화 등 여러 측면에서 의도와 문화를 공유한다. 그런데 박물관 역사 전시도 여러 역사 지식의 원천 중 하나이며, 다른 역사 구성물처럼 특정한 의도와 방향에서 역사 내러티브를 구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박물관 역사 전시의 특징을 고려하고 역사의 ‘해석적’ 성격을 역사 학습의 중요한 요소로 본다면 박물관 역사 수업에서 역사 문해력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역사는 낯선 세계로서 과거를 체험하고, 그러한 체험을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현재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사고의 틀을 벗어나 다른 방식으로 문제를 찾고 해결하는 것의 장점을 가르친다. 박물관 역사 전시는 ‘죽은 사람들의 이야기’처럼 보이는 역사를 한층 생생하게 산 것으로 만드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들이 살아날 수 있는 방향에서 박물관 활용 역사 수업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plores what purposes school history and history museum share and how school can use history museums to teach history. This article identifies that museums complement history in the following six respects: understanding complexities of self-identities, expanding humankind’s self-understanding, historic healing,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improving historical thinking, and identifying his or her own historical consciousness. However, more importantly, using museum resources, students can and should, I suggest, develop historical literacy, with which they can understand how historical explanations are produced, reflectively analyze which evidences and arguments the historical explanations based on and which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historical explanations pursue, and construct historical knowledge of their own. The general public tends to perceive that museums are reliable, authoritative and authentic. People also generally view that museums are very trustworthy sources of historic information. However, in this article, I suggest that museum should be regarded as a source of historical knowledge because it, like any other historical construction, tells its own subjective and selective story of the past, which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including subjective decisions by museums staff, financial considerations, and outside social and political pressures. Therefore, school should develop historical literacy in student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how museums construct history and analyze the stories of the past that diverse institutions, including museums, present.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역사교육에서 박물관의 중요성
Ⅲ. 역사의 효용
Ⅳ. 박물관 역사 전시의 ‘잠재적’ 교육 방향과 역사 수업
Ⅴ. 박물관 활용 역사 수업에서 역사 문해력의 중요성
Ⅵ. 맺음말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선주(Kang Sun Joo). (2012).역사교육과 박물관 역사 전시의 만남. 역사교육연구, (16), 7-35

MLA

강선주(Kang Sun Joo). "역사교육과 박물관 역사 전시의 만남." 역사교육연구, .16(2012): 7-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