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질의록(質疑錄)」에 나타난 금명보정(錦溟寶鼎)의 불교인식과 정토관

이용수 88

영문명
Geummyeong Bojeong’s Recognition of Buddhism and Pureland Thoughut in“Jiluilog”in Changeover Period.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성순(Kim, Seong Soon)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8輯, 75~10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7.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다송자(茶松子) 금명 보정(錦溟寶鼎, 1861-1930)의 「질의록(質疑錄)」에 나타난 금명보정의 계율관과 포교관, 부휴계 정통의식, 경전 안의 불교 우주관과 근대 과학이론 사이의 간극을 이해하는 시각을 고찰 한다. 금명 보정은 평생 동안 수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말년에 다수의 저술을 남김으로써 구한말-근현대 이행기 한국불교에 대한 연구공간을 마련해주고 있으며,「질의록」역시 그 저술 중 하나이다. 금명 보정은 청허계와 더불어 한국불교계의 양대 축인 부휴계 법맥에 속 했으며, 그가 활동했던 송광사는 부휴계의 본산이었기 때문에 보조 지눌의 유풍과 부휴계 정통론을 결합한 조계종을 제창하여 새로운 전통을 선도했던 인물이기도 했다. 또한 일반 재가자들을 위해 순천과 벌교에 포교당을 열고, 송광사와 벌교에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설립하여 불교의 대중화와 후진양성을 위해 힘썼다. 그는 간화선 전통을 계승한 선사이면서도 말년에는 정토수행에 매진하고, 정토수행법인 고성염불에 대해 변증하기도 한다. 이러한 그의 모습들은 격변기에 염불결사 등을 통해 민간신도들과 밀착함으로써 활로를 모색했던 조선말기 불교의 상황을 잘 보여준다. 결국 금명 보정은 출가 승려의 수행과 의식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전통을 고수했으되, 재가신도들의 수행법에 대해서는 탄력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조선말기 불교사원과 승려들의 포교방편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해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view of commandment and propagation, Orthodoxy of Buddhist Lineage of Buhyu,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Buddhist cosmology in the scriptures and Modern Science Theory on the 「Jiluilog(質疑錄)」of dasongja(茶松子) Geummyeong Bojeong(錦溟寶鼎, 1861-1930). Geummyeong bojeong had made a number of writings in the last years based on the materials collected during his lifetime, thus it provide a space for research on Korean Buddhism in the transition period of 19-20 century, and the Jiluilog is also one of those writings. Geummyeong belonged to the Buhyu lineage which had been one of the two pillars of Korean Buddhism since 17th century. He was also the leader of the new tradition by advocating the Jogye Order, which combines the traditions of Chinul with the orthodoxy of Buhyu lineage. His major area Songgwangsa was head temple of the Buhyugye. In addition, he opened the Dharma propagation center in Sunchon and Bolgyo for ordinary laymen, and established Bomyoung school in Songgwangsa and Beolgyo to strive for popularization of Buddhism and training for next generation. He is a Son master who inherited the Ganhwaseon tradition, but in the later years he practiced Yeombul(chanting) for Amita-pureland, and he also demonstrated the Loud voice Yeombul. These figures illustrate the situation of Buddhism in the late Choson period, which had been found the way by the close association with the lay-men through the Yeombul-Societies in the upheaval.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Geummyeong bojeong has strictly adhered to the tradition of the monks training and ritual, but showed a resilient attitude toward the practices of the lay-men. And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Buddhism’s expedient for missionary work in the late Choson period.

목차

1. 서론
2. 금명 보정의 법맥인식: 송광사의 보조 유풍과 부휴계
3. 금명 보정의 계율관: 재가자와 출가자의 계율
4. 전통과 근대화 간의 간극에 대한 입장
5. 天에 관한 인식과 정토관
6. 만일염불회의 고성염불법에 대한 변증
7.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순(Kim, Seong Soon). (2017).「질의록(質疑錄)」에 나타난 금명보정(錦溟寶鼎)의 불교인식과 정토관. 보조사상, 48 , 75-108

MLA

김성순(Kim, Seong Soon). "「질의록(質疑錄)」에 나타난 금명보정(錦溟寶鼎)의 불교인식과 정토관." 보조사상, 48.(2017): 75-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