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北齊 僧稠禪師의 習禪法에 대한 분석적 고찰

이용수 84

영문명
Analysis of the Methods for the Practice of Meditation by Master Sengchou in the Period of the Northern Qi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최은영(Choi, Eunyoung)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8輯, 111~14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7.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기본적으로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습선법이 크게 다르지 않으며, 그 정신적인 배경에서 이타로 확장되는 측면이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승조가 수행한 선법을 분석하여 그러한 생각이 타당함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北齊의 僧稠(480-560)는 「속고승전」편찬자 道宣의 評文에 의하면 習 禪篇 전체에서 菩提達磨와 ‘乘之二軌’로 짝을 이루는 가장 존경할만한 선사 였다. 승전의 기록에는 그의 이력을 따라 그가 수행한 습선법이 기록되어 있다. 곧 止觀·四念處·十六特勝·死想이 그것이다. 주지하듯이 이들 수행법은 소승불교의 대표적인 좌선법이다. 그런데 근세에 돈황에서 발견된 문건 가운데 승조와 관련이 있는 글에서 대승선(특히 北宗禪 관련)의 無 心·安心·守本 등이 명시되어 있어서 관주할만한 연구주제가 되었다. 본 연구 결과 승조는 당시 북조불교에 유행하였던 「열반경」과 「성실론」의 수행관련 내용에서 영향을 받은 측면이 있음이 드러나게 되었다. 특히 死想과 같이 초기불교에서부터 실수되어 내려온 수행법이「열반경」·「성실론」에서만 이타적 성향의 설명으로 전환되어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승조 가 止觀을 익히고 다시 十六特勝으로 수식법 계통의 추가적인 습득이 필요 했을 이유는 「성실론」의 문장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성실론」을 비롯한 경론을 통해서 십육특승은 사념처를 보다 잘 수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측면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열반경」의 사념처는「좌선삼매경」등 여러 선관경류의 영향 관계를 보이면서도, 주재자를 추구하는 독특한 형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승조가 일찍부터「열반경」사념처를 닦았던 것은 이후의 다른 습선과 연관되어 진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이 습선법의 명칭이 소승선법과 같다고 해도 경론에 따라서 대승 의 이타와 자비를 함양하는 記述이 발견되고, 이것에 의해 수행을 할 경우 자연스럽게 대승적 사상으로 발전될 수 있음을 돈황에서 발견된 승조의 글 이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purports to analyze the practice of meditation by Master Sengchou (僧稠, 480-560)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argument that the methods of meditation expand their spirit toward the benefit of others in Mahayana Buddhism while there is no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ravada and Mahayana Buddhism. Master Sengchou (僧稠, 480-560) in the Northern Qi (北齊) was one of the most admirable masters, being regarded as equal to the Master Bodhidharma, both of them forming two wheels of a vehicle within the whole chapter for the practice of meditation (習禪篇), according to the appraisal of Dao Xuan (道宣), the edi-tor of the Sequel to the Biography of Eminent Monks (續高僧傳). In the recordings of the Sequel, there appear the methods for the practice of meditation according to his career, including ces-sation and observation (止觀),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四念處), sixteen extraordinary methods of contemplation (十六特 勝), the meditation on death (死想). As known, they are repre-sentative methods of meditation in Theravada Buddhism. In the documents related to Sengchou that have been found at Dunhuang in the modern period, however, there appear explicit expressions referring to the methods of meditation in Mahayana Buddhism (especially belonging to the Chan of the Northern Order 北宗禪), including no mind (無心) and peace of mind (安 心), so we need to focus on this fact. As a result, Sengchou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ontents related to the practice of meditation in the Nirvana Sutra and the Treatise on the Demonstration of Truth (成實論, Satyasiddhiśāstra) that were being circulated among the con-temporary Buddhists of the Northern dynasties. Further, the methods of meditation inherited from the early Buddhism through actual practice, including the mediation on death, are ascertained to have been transformed with altruistic ex-planations only in the Nirvana Sutra and the Treatise on the Demonstration of Truth. After having learned the methods of cessation and ob-servation, Sengchou appears to have had the additional need to learn the methods of breath counting, including the sixteen ex-traordinary methods of contemplation, the reason for which might be found in the sentences of the Treatise on the Demonstration of Truth. Through scriptures and treatises in-cluding the treatise, the sixteen extraordinary methods of con-templation are ascertained to have some elements of com-plementing the better practice of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n addition,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in the Nirvana Sutra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by scriptures focusing on meditation, including the Sutra on the Concentration of Sitting Meditation (坐禪三昧經), with a special style of pursuing a supreme ruler. Sengchou appears to have be-gun to practice the four foundations of mindfulness early in his life, possibly later relating this practice with his subsequent methods of meditation practice. Thus, the methods for the practice of meditation, in spite of the same names as in Theravada Buddhism, might include ele-ments that enhance altruism and compassion in Mahayana Buddhism, according to the influence from other scriptures and treatises, whose practice might have promoted naturally their further development according to Mahayana Buddhism, as ex-emplified in the writings of Sengchou found at Dunhuang.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 「속고승전」에 보이는 승조의 전기
Ⅲ. 승조의 實修 선법
1. 소승선에 기반한 수행법
2. 대승사상을 기반으로 한 과도기적 선법의 실천
Ⅳ. 나가는 말: 승조 선법 수행의 小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영(Choi, Eunyoung). (2017).北齊 僧稠禪師의 習禪法에 대한 분석적 고찰. 보조사상, 48 , 111-143

MLA

최은영(Choi, Eunyoung). "北齊 僧稠禪師의 習禪法에 대한 분석적 고찰." 보조사상, 48.(2017): 111-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