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과 교과서 ‘생활과 기술’ 단원의 삽화 분석과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이용수 92

영문명
The Analysis of the Illustrations of the Unit ‘Life and Technology’ in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권기운(Kwon Ki Un) 정진현(Jung Jin Hyun)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0권 제2호, 51~6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 의거 개발된 6종의 실과 5학년 교과서 ‘생활과 기술’ 단원의 삽화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과서 삽화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실과 교과서를 외형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G지역 5학년 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삽화의 외형적 측면, 내용적 측면 및 교수 성향과 관련하여 삽화의 활용도를 중심으로 19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PC를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단원 삽화의 외형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 차이는 있지만 전체적으로 ‘생활과 기술’ 단원의 삽화의 수의 비율은 다른 단원에 비해 높으며, 사진(57.7%)과 그림(18%)에 집중된다. 또한 한 페이지 당 비율이 1/12, 1/32이하의 삽화 크기가 가장 빈번했으며, 삽화의 대부분이 중앙(50.1%)과 아래쪽(36.2%)에 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의 내용적 측면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생활과 기술’ 단원의 삽화의 역할은 문제 분석 및 탐색(51%)과 학습문제 인식(27%)에 집중되었고, 삽화의 기능은 필수적 기능(63.4%), 보조적 기능(26.7%), 장식적 기능(9.9%) 순으로 제시됐다. 또한 삽화와 내용의 일치도는 높음(68.7%), 보통(22%), 낮음(9.3%) 순으로 분석됐으며 성별 분포는 남녀의 성비가 111.17로 남성의 비율이 여성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삽화의 외형적 측면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분석으로, ‘생활과 기술’ 단원에 제시된 삽화의 수(90%), 유형(90.6%), 크기(86%), 선명도(91.3%), 배치(89.3%)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삽화의 내용적 측면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분석으로, ‘생활과 기술’ 단원에 제시된 삽화의 중요도(92.6%), 인지수준 적합성(90.7%), 내용일치도(94.6%), 실습시 중요도(85.3%), 성비(88%)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삽화에 대한 교사의 교수 성향에 대한 분석으로, 활용빈도(93.4%), 이해정도(93.3%) 측면에서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으나, 지도 순위(71.3%)에서 다소 낮은 응답이 나타났다. 또한 자주 활용하는 활동으로 문제 분석 및 탐색(41.3%), 동기유발(36%) 순으로 응답했으며, 삽화의 선호 유형으로 사진(58.7%)과 그림(15.3%)을 선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esirable way for the textbook illustration to be presented by analyzing the illustrations of the unit ‘Life and Technology’ of the Practical Arts textbook. To do this, the study analyzed six types of Practical Arts textbooks for 5th graders developed by the 2009 revision of the curriculum and also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llustrations. The textbook illustrations were examined regarding material aspects and content aspects. This study additionally surveyed 150 practical arts teachers in G province through 19 questions about material and content aspects of illustrations and regarding their teaching style.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material aspects of the textbook illustrations, the number of illustrations of the unit ‘Life and Technology’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other units and most of them were photographs(57.7%) and pictures(18%). In terms of the size of illustrations, less than 1/12 and 1/32 of the page were the most frequent. A large proportion of illustrations were placed in the middle(50.1%) and bottom(36.2%) of the page. Second, after examining contents of the textbooks, it was found that roles of illustrations focused on analyzing, exploring(51%) and perceiving the learning problem(27%). Functions of illustrations were suggested in order of necessity(63.4%), assistant(26.7%), and decorative(9.9%) functions. Analysis on conformity between illustrations and contents was ‘high(68.7%)’, ‘medium(22%)’, ‘low(9.3%)’. Regarding distribution of gender shown in illustrations, the male-female ratio was 111-17 and the male ratio being higher. Third,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 of material aspects of illistrations, the teachers positively perceived the quantity (90%), types(90.6%), size(86%), visibility(91.3%), placement(89.3%) of illustrations. Fourth,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 of content aspects, the teachers positivel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llustrations (92.6%), cognitive development appropriateness (90.7%), conformity to contents(94.6%), the importance in practice(85.3%), and the sex ratio(88%). Fifth, analyzing teaching styles, the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for the frequency of using illustrations(93.4%) and understanding of the illustrations(93.3%) while the order of teaching priority was slightly less(71.3%). The preference of activities was suggested as problem-solving(41.3%) and motivation(36%). Their preference for types of illustrations was that of photographs(58.7%) and pictures(15.3%).

목차

Ⅰ. 서 론
Ⅱ. 삽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기운(Kwon Ki Un),정진현(Jung Jin Hyun). (2017).실과 교과서 ‘생활과 기술’ 단원의 삽화 분석과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 (2), 51-66

MLA

권기운(Kwon Ki Un),정진현(Jung Jin Hyun). "실과 교과서 ‘생활과 기술’ 단원의 삽화 분석과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2(2017): 5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