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폐범주성장애 학생 또래관계 증진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및 질적평가지표에 의한 분석

이용수 1015

영문명
A Systematic Review on Peer Rel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자폐학회
저자명
문소영(Moon, Soyoung) 홍주희(Hong, Juhee) 김유리(Kim, Yu-Ri)
간행물 정보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제16권 제2호, 83~10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폐범주성장애 학생에게 또래관계 중재를 실시한 단일대상연구 및 집단연구의 최근 10년동안의 연구동향과 CEC 질적지표를 활용하여 연구의 질적수준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국외에서 발표된 자폐범주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또래관계 관련 중재를 실시한 연구를 수집하여 발표연도,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및 절차, 독립변인, 종속변인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질적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CEC 지표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자폐범주성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관계 증진을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는 중재는 주로 사회성기술 중재, 또래 상호작용 훈련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러한 중재의 결과로서 많은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시작하기, 반응하기, 유지하기)의 향상을 측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지표를 통한 분석 결과 80%이상 충족을 보인 연구는 29편의 분석논문 중 8편(단일대상연구 4편, 집단연구 4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연구의 경우 단일대상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질적지표 충족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의 또래관계 중재와 관련된 논의와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peer relation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and to analyze the quality of research using CEC quality indicator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is purpose,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6 to 2015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and a total 29 studies were identified. The 29 studies(22 of single-subject experimental studies and 7 of experimental group comparison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participants, settings, research design,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and CEC quality indicator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of studies were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SD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for social-related support was social skill training and peer interaction training. Also, most of the studies measured social interaction skills(initiating, responding, maintaining). In terms of analysis based on CEC quality indicators, only 4 of 29 studies has relatively high quality level, addressing more than 80% of a total score. Overall, studies using group experimental design have much higher level of quality than ones using single-subject design.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검색 방법
2. 문헌 선정 기준
3. 논문 분석
4. 분석자간 신뢰도 및 자료처리
Ⅲ. 연구 결과
1. 개괄적 연구 동향
2. 연구방법별 질적지표에 따른 분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소영(Moon, Soyoung),홍주희(Hong, Juhee),김유리(Kim, Yu-Ri). (2016).자폐범주성장애 학생 또래관계 증진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및 질적평가지표에 의한 분석.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6 (2), 83-109

MLA

문소영(Moon, Soyoung),홍주희(Hong, Juhee),김유리(Kim, Yu-Ri). "자폐범주성장애 학생 또래관계 증진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 및 질적평가지표에 의한 분석." 자폐성장애연구 [ISSN 2005-1778 (Print) / 2671-6992 (Online)], 16.2(2016): 83-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