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선종사원 완주 송광사 가람구성의 의미

이용수 432

영문명
The meaning of building composition of Wanju Songgwangsa temple as the Zen Buddhist temple of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한지만(Han Ji man)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普照思想 第47輯, 170~216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임진왜란 후 17세기 전반에 창건된 완주 송광사는 조선시대 전기 이래로 일관되어 온 억불정책 아래에서 새로운 터에 대규모로 창건된 사찰이라는 점에서 불교사뿐만 아니라 사원 건축사의 측면에서도 주목되는 사찰이다. 그러나 송광사는 조선시대 가람의 극히 일부분만 현존하고, 창건 당시 가람구성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어 사원 건축사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다뤄지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송광사의 창건 당시 가람구성의 면모를 알 수 있는 『松廣寺法堂初創上層化主德林』을 중심으로 여타자료의 분석을 더해, 송광사의 창건 배경과 규모 및 가람구성정황을 파악했다. 그리고 17세기 창건 송광사의 가람구성이 조선 후기 사원 건축사에서 갖는 의미를 찾아보았다. 이들 자료에 의하면 창건 송광사는 대웅전을 포함한 8동의 불보살전을 비롯해 총 32동의 전각과 18개의 부속 암자를 거느린 대규모 가람이었다. 송광사는 선종사원을 표방하며 창건되었으나, 실제로 완성된 가람은 다수의 불전과 보살전을 갖는 전형적인 조선 후기 통불교 사원의 면모를 가졌다. 이것은 조선 후기 사원의 통불교 가람화가, 전란으로 폐허된 가람의 복구 결과물이 아니라, 조선 후기 사원 건축의 새로운 변화상이었고, 17세기 창건 송광사의 가람은 그 변화의 초기적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가람배치 상에서 기존 연구에서는 17세기까지 불전전방에 단층의 正門이 있고, 다시 그 전면에 중층의 종루가 배치되다가, 18세기에 들어와 정문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 樓가 배치된다고 했는데, 17세기 창건 송광사에는 불전 전면에 중층 누각 형태의 정문이 배치되어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 이것 역시 송광사가 조선 후기 사원의 가람배치 변화의 효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Wanju Songgwangsa Temple(完州 松廣寺), which founded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is a temple attracted attention not only in Buddhist history but also in the aspect of temple architecture, since it is a Buddhist temple built on a large scale in a new place under the anti-Buddhist policy which has been consistent since the Joseon Dynasty. However, it is true that Songgwangsa Temple is not fully studied in earnest in the temple architects field, since there are little historical records available to know the state of the building composition of founded temple. In this study, first of all, the background of the founding of Songgwangsa Temple, the scale of the temple and the state of the building composition was examined, by the analysis of Songgwangsa beopdang sangcheung hwaju deokrim(松廣寺法堂初創上層化主德林)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And it was attempted to find the meaning of the building composition of the Songgwangsa Temple founded in the 17th century. According to those historical records, Songgwangsa Temple was a large scale temple with a total of 32 buildings, which includes 8 Buddha and Bodhisattva halls, and 20 attached hermitages. Songgwangsa Temple was built in honor of the Zen Buddhist temple, but the completed temple was a typical uni-Buddhism temple in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had numerous Buddha and Bodhisattva halls. This means that, the conversion to the uni-Buddhism temple in the period of late Joseon dynasty was not the result of recovering the ruined temples due to the war of Japanese invasion, but the new change of the temple architec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onggwang, founded in the 17th century, has an initial form of the change. In addi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building arrangement, it was said that until the 17th century, a gate called Jeongmun(正門) was located in front of the main Buddha hall, and the bell tower was arranged in front of the Jeongmun, but in the 18th century the Jeongmun was disappeared and a two-storied pavilion was placed. By the way, it was confirmed that Songgwangsa Temple, which was founded in the 17th century, had a Jeongmun with the form of two-storied pavilion on the front of the main Buddha hall. This also means that Songgwangsa Temple was the beginning of the change of the building arrangement of the Buddhist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완주 송광사의 창건 배경
Ⅲ. 완주 송광사 가람 조성 과정
Ⅳ. 17세기 창건 송광사의 가람구성과 배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지만(Han Ji man). (2017).조선 후기 선종사원 완주 송광사 가람구성의 의미. 보조사상, 47 , 170-216

MLA

한지만(Han Ji man). "조선 후기 선종사원 완주 송광사 가람구성의 의미." 보조사상, 47.(2017): 170-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