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질적 유사성과 공정이용법리의 공통기원(共通起源), 그리고 ‘규범적 복제’의 정의

이용수 340

영문명
Common Origin of Substantial Similarity and Fair Use Doctrine, and Defining Copy Normatively in Copyright Act
발행기관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자명
박준우(Park, Junu)
간행물 정보
『계간 저작권』계간 저작권 114호(29권 2호), 33~73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원고저작물의 시장가치를 훼손하지 아니하는 피고의 2차적 창작이 원고의 저작재산 권, 특히 복제권의 행사로 인하여 방해받거나 반대로 시장가치를 훼손함에도 복제권 침해가 아니라는 주장의 원인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작재산권 침해요건인 ‘실질적 유사성’이란 ‘피고가 원고저작물을 전부 그대로 베끼지 아니하였어도, 그 시장가치를 훼손할 정도로 베꼈으면 저작재산권의 침해’라는 의미이다. ‘부분적·문자 적-포괄적·비문자적 유사성’, ‘실질적 유사성’, ‘본질적 특성의 감득’ 등은 모두 ‘유사성’과 같은 의미의 동어반복에 불과하며, ‘유사성’의 판단기준을 더 구체적으로 만들어 주는 별도의 고려사항은 아니다. 둘째, 공정이용법리의 기원으로 알려진 ‘Folsom 사건’의 Story 판사가 제시한 세 가지 고려사항은 당시까지 법원이 제시하였던 복제권 침해판단단계에서의 ‘유사성’ 판단을 위한 고려사항들을 정리한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후 복제권의 침해요건인 ‘유사성’ 판단에 요구되던 ‘실질적’의 의미가 ‘원고저작물의 시장가치를 훼손할 정도’라는 ‘규범적’ 의미로부터 ‘피고작품에서 원고저작물의 특성을 느낄 수 있는 정도’라는 ‘물리적’ 의미로 변질되었다. 이는 ‘복제권 침해’의 의미가 ‘피고작품이 원고저작물의 시장가치를 훼손하는 규범적 복제’에서 ‘피고작품에서 원고저작물의 특성을 느낄 수있는 물리적 복제’로 변질되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피고이용의 목적과 성격’, ‘원고작품 중이용된 부분의 양과 가치’, ‘피고작품이 원고저작물을 대체하였는지의 여부’는 원고가 입증하여야 할 ‘실질적 유사성’ 판단의 고려사항에서 피고가 입증하여야 할 ‘공정이용’ 판단의 고려사항으로 변질되었다. 셋째, 실질적 유사성 판단을 위한 세 가지 고려사항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전제로서 필연적 으로 연결되어 있다. ‘원고작품 중 이용된 부분의 양과 가치’의 정도를 결정하려면 ‘피고작품의 원고저작물에 대한 수요대체성’을 판단하여야 하므로 후자는 전자의 결정을 위한 전제이다. 또한 원고저작물과 피고작품이 동종상품이 아니면 피고시장에서 원고가 자신의 저작재산권을 이용하여 이윤추구하는 것을 허용할 것인가의 결정이 우선하여야 하므로, ‘피고이용의 목적과 성격’에 대한 판단은 ‘수요대체성’ 판단의 전제가 된다. ‘유사한 부분이 실질에 해당하는지의 여부’ 는 결국 ‘피고가 원고저작물을 어떻게 이용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며, ‘이용의 목적과 성질’은 ‘실질적 유사성’과 ‘공정이용’ 판단 시의 ‘고려사항’이 아닌 ‘판단대상’이다. 넷째, 저작권법 연구자, 법원, 그리고 사회구성원 사이에는 이미 ‘물리적 복제가 아닌 규범적 복제만이 복제권의 침해’라는 ‘당위’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논문은 ‘실질적 유사성’, ‘공정이용법리’, 그리고 ‘물리적·규범적 복제’의 관계를 연혁으로부터 분석함으로써 위 ‘당위’의 역사적 고리를 입증하였다. 그리고 형사처벌의 위협, 영업방해, 합의금장사, 포털사이트에서의 전송 중단 등의 소모적인 과정 없이 위 ‘당위’를 실현할 수 있도록, 저작권법 제2조 제22호의 복제의 정의에 ‘공중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라는 요건을 추가하여 ‘저작권법상 의미 없는 물리적 복제’의 정의를 ‘규범적 복제’로 바로잡을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arch for the source of the problem that second level creation, which did not diminish the market value of the plaintiff’s copyrighted work, has severely been hindered by copyright, and to propose a legislative solution to the problem. This article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ubstantial similarity’ means that copyright is infringed even when the defendant did not publish the whole part of the plaintiff’s work, verbatim. ‘literal-fragmented or comprehensive-non-literal similarity,’ ‘substantial similarity,’ or ‘feeling substantial attributes’ is no more than repetition of ‘similarity.’ Second, three factors of fair use doctrine in Folsom was actually 3 factors to consider in determining ‘substantial similarity,’ which had long been considered by 18th and 19th century courts before Folsom. However, since the meaning of ‘copy’ had changed from ‘normative one’ to ‘physical one,’ the meaning of ‘substantial’ had also changed from ‘diminishing the market value of plaintiff’s copyrighted work’ to ‘feeling substantial attributes of plaintiff’s work.’ Consequently, those three factors in determining ‘substantial similarity’ had become the factors of fair use defense, which had also transferred the burden of proof from plaintiff to defendant. Third, those three factors are related with each other, that is, one is prerequisite factor to the other. For example, ‘the value of plaintiff’s work, which is diminished by defendant’s use,’ cannot be considered until the effect of the defendant’s use to the plaintiff’s market value is determined. And where plaintiff and defendant are not in the same market, ‘the effect to the plaintiff’s market’ cannot be considered until it is determined whether plaintiff could be allowed to realize profit from defendant’s market. Fourth, most scholars, judges and members of the society have already agreed that ‘unjust copy,’ not mere ‘physical copy,’ is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To make the agreement happen in copyright dispute, this article proposed that ‘to satisfy the public needs’ should be added to the definition of ‘copy’ or ‘reproduction,’ which would turn the definition of ‘copy’ from physical one to normative one.

목차

Ⅰ. 서론
Ⅱ. 법원의 ‘유사성’ 판단기준
Ⅲ. ‘실질적 유사성’ 기준의 기원
1. 실질적 유사성과 동일성의 관계
2. ‘실질적’의 의미
3. 소결
Ⅳ. ‘실질적 유사성(또는 공정이용)’의 판단에 있어서 ‘시장가치’의 고려와그 전제
1. ‘유사성’과 ‘공정성’의 성격과 판단방법
2. 유사성 판단 對 복제행위 對 저작재산권 제한
Ⅴ. 복제권 침해의 ‘규범적’ 판단을 위한 입법론: ‘규범적 복제’의 정의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우(Park, Junu). (2016).실질적 유사성과 공정이용법리의 공통기원(共通起源), 그리고 ‘규범적 복제’의 정의. 계간 저작권, 29 (2), 33-73

MLA

박준우(Park, Junu). "실질적 유사성과 공정이용법리의 공통기원(共通起源), 그리고 ‘규범적 복제’의 정의." 계간 저작권, 29.2(2016): 33-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