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물캐릭터 도안(디자인)의 저작물성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 대법원 2014. 12. 11. 선고 2012다76829 판결을 중심으로 -

이용수 287

영문명
A study on the Criteria of Copyrightability of Works of Applied Art related to Animal Character Designs - Focucing on A Critical Analysis of Korean Supreme Court Decision 2012Da76829 Decided December 11, 2014 -
발행기관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자명
차상육(Cha, Sang-Yook)
간행물 정보
『계간 저작권』계간 저작권 114호(29권 2호), 153~18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5.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른바 ‘여우 머리’ 디자인의 데드카피 관련 사건에서, 대법원은 저작권 침해 책임을 인정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다며 원심의 판결을 확정하였다. 원심은 ‘여우 머리’ 디자인(1976년과 1990년에각 창작됨)에 대해 응용미술저작물로서 저작물성을 인정하였다. 대법원의 주된 판시내용은 이사건 ‘여우 머리’ 디자인이 종래의 다른 저작자의 저작물과 대비할 때 구별되고 나아가 저작권법상 보호요건을 충족하고 있다는 점과 이 사건 디자인이 상표의 구성요소의 일부라 하더라도 그 디자인이 저작권법상 보호요건을 충족하면 저작물로 보호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근거로 하고 있다. 대상판결의 의의는 여우 머리를 형상화한 원고의 이 사건 도안에 관하여 그 도안이 일반적 미술저작물임을 전제로 저작물에 관한 일반적 성립요건으로서 창작성에 기한 저작물성을 판단하 면 족하다고 명시적으로 판시한 최초의 판결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대상판결은 응용미술작품 내지 응용미술저작물에 관하여 창작시기에 따라서 1957년 저작권법 및 1986년 개정 저작권법을 포함한 2000년 개정 저작권법 전후에 관한 저작권법 해석론을 따르지 않은 점에 특색이 있다. 그러나, 대상판결의 대법원 판결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향후 법원실무상 과제도 없지 않다. 우선 이 사건 여우 머리 캐릭터 도안의 본질이나 법적 성격이 응용미술인 것에 대한 법리오해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 응용미술이라면 응용미술의 보호범위와 보호요건이 우리 저작권법의 변천사에 따라서 달라진 점에 비추어, 이를 간과한 채 이 사건 캐릭터 도안에 대해서 순수미술과 같이 저작물에 관한 일반적 성립요건에 입각하여 응용미술에 대해서도 창작성 요건만을 기준으로 저작물성을 판단한 점에서 대상판결은 의문이 있다. 왜냐하면, 응용미술에 대한 정의 내지 분류와 그 저작물성 판단기준에 대한 법리오해를 저질렀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대상판결은 우리 저작권법상 순수미술과 응용미술의 경계를 더욱 곤란 하게 만들 위험을 초래하고 있어서 선뜻 동의하기 어렵다. 나아가 대상판결은 종래 대법원과 같이 다른 응용미술과 달리 오직 동물캐릭터 도안의 사례에서만 응용미술저작물과 순수미술저 작물의 경계선을 무너뜨리는 독특한 법리를 제공함으로써 그 논리적 근거와 법적 안정성에 치 명적 약점을 노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요컨대, 이 사건 여우 머리 캐릭터 도안이 너무나도 응용미술의 개념이나 분류체계에 가깝다는 점에서 대상판결이 이 사건 캐릭터 도안에 대해 순수미술 내지 일반적 미술저작물임을 전제로 하여 저작물성 판단기준을 제시한 것은 재고를 요한다. 통상의 응용미술과 마찬가지로, 동물 캐릭터 디자인의 저작물성 판단기준에 대해서도 대법원은 응용미술의 보호요건에 관한 일관성이 있는 판단기준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형사 사건에서는 응용미술의 저작물성 판단기 준에 대하여 법적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구축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그러하다.

영문 초록

In relation to the dead copy of ‘Fox Head’ design(hereinafter ‘Fox Head design case’), Korean Supreme Court affirmed the High Court’s decision (Supreme Court Decision No. 2012 Da 76829, decided December 11, 2014). The main grounds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are as follows: Fox Head’s Designs are distinguishable from other works created by another originator and meet the requirements for the copyrightable works; and even if the design element is one of components of the mark, if the design element meets the requirement for the work to be protected under the Copyright Law, it would be protected as a copyrightable work. I think that this Supreme Court decision can mean that: First, in light of Article 53 of the Korean Trademark Act, this Supreme Court decision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Court explicitly declared that a registered mark that infringes upon the earlier effective copyright should be banned from use. In other words, this Supreme Court decisions found clearly that trademarks and the works are not on exclusive and alternative relations each other. I think that the above trial is proper in the light of the purpose of legislation of Article 53 of the Korean Trademark Act. Second, this Supreme Court decisions apply only legal principles on originality of general artistic works to determining the criteria of copyrightability of works of applied art related to animal character designs. But I don’t agree at this trial because the point of this decision is inappropriate with regard to the criteria of copyrightability of works of applied art. In this case Fox Head’s Designs created in 1976 and 1990 respectively. I think that in view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applied art, a legal nature of this Fox Head’s Designs is an applied art, not fine art. Then, if we compare the 1957 Copyright Act and 1986 Copyright Act and 2000 Copyright Act with regard to the criteria of copyrightability of works of applied art, we must apply the 1957 Copyright Act and 1986 Copyright Act respectively in this case. In principle, an applied art has not been qualified for protection under the 1957 Copyright Act. And the mainstream attitude of the court’s ruling have a standard criteria for judgment with regard to the criteria of copyrightability of works of applied art under the 1986 Copyright Act, that is “independent artistic characteristics or value” test. Meanwhile, we have a different standard of judgment with regard to the criteria of copyrightability of works of applied art under the 2000 Copyright Act, that is “separability” test. So, especially considering the creation time of this Fox Head’s Designs, there is no room to apply the 2000 Copyright Act in this case. In short, this article aims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groundwork for analyzing the criteria of copyrightability of works of applied art, especially animal character designs. In the light of the respective purpose of the law and the revision of effect of legislation under the 1957 Copyright Act and 1986 Copyright Act and 2000 Copyright Act, surrounding works of applied art, we need to be a consistent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 with regard to the criteria of copyrightability of works of applied art.

목차

Ⅰ. 사실관계 및 재판의 경과
1. 사실관계
2. 재판의 경과
Ⅱ. 대상판결의 요지(응용미술의 저작물성 판단기준의 쟁점에 한하여)
1. 항소심의 판결 요지
2. 대법원의 판결 요지
Ⅲ. 해설
1. 문제제기
2. 이 사건 원고 도안의 법적 성격: 응용미술저작물인가? 일반적 미술저작물인가?
3. 창작시기별 적용되는 저작권법상 응용미술의 보호요건
4. 소결론: 대법원 판결의 비판적 검토
Ⅳ. 결론 - 대상판결의 의의와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상육(Cha, Sang-Yook). (2016).동물캐릭터 도안(디자인)의 저작물성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 대법원 2014. 12. 11. 선고 2012다76829 판결을 중심으로 -. 계간 저작권, 29 (2), 153-186

MLA

차상육(Cha, Sang-Yook). "동물캐릭터 도안(디자인)의 저작물성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 대법원 2014. 12. 11. 선고 2012다76829 판결을 중심으로 -." 계간 저작권, 29.2(2016): 153-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