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행병 발병 시 조직의 비즈니스연속성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s of the organization during a pandemic outbreak (Focusing on the finance correspond case)
- 발행기관
- 한국방재안전학회
- 저자명
- 김대진(Dae Jin Kim) 김기원(Gi Won Kim) 최덕재(Deok Jae Choi) 장현민(Hyun Min Jang) 김동헌(Dong Heon Kim) 은민균(Min Gyun Eun) 양승원(Seung Weon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방재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16년 학술대회 발표집, 173~18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1.16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들어 2002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2009년 신종플루(H1N1),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 6∼7년 주기를 두고 유행병이 창궐하고 있다.
이러한 유행병 발병 시 첫 조치사항은 감염자 및 발병 장소의 격리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유행병의 특성상 일정 잠복기를 보유 한 후 나타나기 때문에 감염자(감염原因)와 함께 활동한 인력 및 장소는 유행병의 전염 위기에 크게 노출되어 있다.
만약 사업장에서 유행병이 발병 하였다면, 사업장이 폐쇄되더라도 임직원의 안전 및 보호방안과 조직의 핵심 업무를 지속하기 위한 계획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회사의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유행병 발병 시 임직원의 안전 및 보호와 핵심 업무를 지속하기 위한 대응방안과 BCP 수립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epidemics have raged with a 6-7 years period such as SARS(2002), Swine Flu(2009), MERS(2015). When an epidemic arises, the first advice is the isolation of infected patients and disease areas. Because it appears after a certain incubation period, the peoples worked with Infected (infection cause) staff and the place are largely exposed to the epidemic Risk. If you have an epidemic in the workplace, even if you close it, the business plan should be ready to continue the safety and protection measures for employees and the organization s core busines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corresponding measures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employees and to continue the core business during a pandemic outbreak and the introduction of BCP mainly corresponding practices of financial companies.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인명안전 및 BCP구축 방안
4. 결론 및 향후방향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급경사지 관리 제도 개선 방안
- 도시화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도시홍수피해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재난의 재난위해분석에 관한 연구
- 방재안전 자연광 LED 조명을 이용한 생활안전 개선에 관한 연구
- 수준기를 활용한 재난발생 구조물에 대한 안전진단 기법제안
- 시설물 안전관리체계 일원화 전략
- 재난으로 인한 건축물의 손실비용 산정에 관한 연구
- 유한요소 신뢰성 해석을 통한 구조물의 지진 취약도 평가
- 재난대비훈련시나리오 작성 방안에 대한 연구
- 지진시 산사태 위험도 평가 방법 고찰
- 대형보일러 폭발사고에 대한 안전관리 연구
- 효율적 재난대응 역량강화를 위한 재난대응훈련 검증 방법론에 관한 연구
- 재난 발생 시 재난대응 역량강화를 위한 기업의 대응조직에 관한 연구
- 한반도 지진에 대한 원인 및 대처방안
- 최근 옹벽 관련 연구 사례
- 유행병 발병 시 조직의 비즈니스연속성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금융회사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 물탱크 내 염소농도 감소율에 미치는 기작 별 영향에 대한 정량적 연구
- 지역안전지수 기반의 취약성 분석 및 개선대책 연구
- 물탱크 내 염소농도 감소율에 미치는 기작별 영향에 대한 문헌조사 연구
- 최근 10년간 국내 건설업 재해 특성 분석
- 재난관리역량 강화를 위한 고위험 재난유형 및 대상지역 선정방안에 관한 연구
-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스마트 구조 기술
- 지표투과레이더 취득신호 분석을 통한 도로하부 이상구간 탐지기법 연구
- 최근 옹벽 관련 연구 사례
- 농촌지역의 재난안전 마스터플랜 수립에 관한 연구
- 진동대 실험을 통한 수계 소화설비의 지진응답평가에 관한 연구
- 공간분석을 통한 캠핑장 위험지역 추출
- 지자체 재난관리역량 강화를 위한 평가 체계의 도입 방안
- 선진국에서의 지하공사 RISK 및 안전관리 시스템
- 산사태 및 토석류 재해방지를 위한 제언
- 산사태 및 토석류 재해방지를 위한 제언
- 터널내진안정성 평가
- 축사
- 국내 지반함몰 발생 현황 및 대응 기술 개발
- 재난시 심리지원에 대한 인식 조사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경주 지진의 주요 이슈 분석
- 지중 보강형 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 공공기관이 재난으로부터 중단없는 대국민 서비스 확보를 위한 상향식 업무연속성관리체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시민참여 안전커뮤니티매핑을 통한 지역 환경개선 방안
- 경주지진과 정부의 지진재해대책을 위한 제언
- 국가재난위기관리 차원의 비정형적 재난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
- 지중 보강형 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 연안침식 대응기술 개발 현황
- 수도직결방식 전환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경주지진과 정부의 지진재해대책을 위한 제언
- 재난의료지원팀의 역할 및 교육 개발
- 연안침식 대응기술 개발 현황
- 재난시 심리지원에 대한 인식 조사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경주 지진의 주요 이슈 분석
- 재난의료지원팀의 역할 및 교육 개발
- 어린이 안전게임 개발 전략
-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미래 홍수피해 예측
- 수도직결방식 전환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시민참여 안전커뮤니티매핑을 통한 지역 환경개선 방안
- 어린이제품 및 안전교육을 위한 BCM기반 거버넌스(기관) 도입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국가재난위기관리 차원의 비정형적 재난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
- 국내 지반함몰 발생 현황 및 대응 기술 개발
- 옹벽의 내진안전성 평가
- 선진국에서의 지하공사 RISK 및 안전관리 시스템
-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미래 홍수피해 예측
- 지역안전지수 기반의 취약성 분석 및 개선대책 연구 – 울산 울주군을 중심으로
- 단지형 다세대주택신축공사의 안전경영모델 표준화 및 적용사례 연구
- Disaster Management for Earthquake in Taiwan
- 농촌지역의 재난안전 마스터플랜 수립에 관한 연구
- 최근 10년간 국내 건설업 재해 특성 변화 분석
- 터널내진안정성 평가
-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스마트 구조 기술
- 공공기관이 재난으로부터 중단없는 대국민 서비스 확보를 위한 상향식 업무연속성관리체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Micro 및 Macro 액상화 위험도 작성기법 제안
- 재난관리역량 강화를 위한 고위험 재난유형 및 대상지역 선정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 한반도 지진에 대한 원인 및 대처방안
- 탄약고 폭발사고로 인한 환경영향권 검토에 관한 연구
- 재난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재난 발생 시 기업의 대응조직에 관한 연구 (소방기본법, 민방위기본법,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중심으로)
- 단지형 다세대주택신축공사의 안전경영모델 표준화 및 적용사례 연구
- 대학 실험⋅실습실 안전문화 형성 방안 연구
- 대학 실험·실습실 안전문화 형성 방안 연구
- 지표 두과레이더 취득신호 분석을 통한 도로하부 이상구간 탐지기법 연구
- 유행병 발병 시 조직의 비즈니스연속성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 탄약고 폭발 사고로 기인한 환경영향권 검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분야 NEW
- 인간식물환경학회지(JPPE) 제26권 제4호 목차
- Evaluation of Growth, Flowering,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s of Viola cornuta cv. Penny Red Wing according to Spectral Power Distributions
- Purification Effect of Vegetation Biofilters on Particulate Transition Metals in Multi-Use Facil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