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만족도 향상을 위한 학교효과 관련 지표 비교 분석

이용수 173

영문명
A Study on Analysis of Indicators Related with School Effectiveness factors for Improvement of School Satisfaction - A Survey Mainly for the General High School, the Special Purposed High School and the Autonomous High School -
발행기관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미영(Kim Mi young) 김보화(Kim Bo hwa)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제20권 제1호, 21~4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조사, 통계청의 사회조사를 기반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대상을 17개 시ㆍ도교육청별, 고등학교 유형별(일반고, 자율고, 특수목적고)으로 설정하고 교육재정과 관련된 학교 만족도 결정 요인들을 취사선택하였다. 분석 항목은 학교알리미에 제공된 주요 공시 자료에서 학교 수, 학생 수, 교원 수의 현황을 비롯하여 고등학교 교육여건 개선과 관련된 교육활동의 핵심 준거 지표들이다. 이 연구에서 선정한 지표들은 고등학생들의 학습을 포함한 전반적인 학교생활과 그에 대한 성과는 학교 효과성에 관한 기본 조건들과 만족도 요인들에 좌우된다. 학생현황의 학급당 학생 수, 교사 1인당 학생 수, 교원현황의 정규교원의 비율, 교육여건의 교사 1인당 주당 평균 수업 시수와 방과후 학교 학생 1인당 지원액, 교육활동의 급식비 지원 학생 비율인 4개의 대분류와 6가지 중분류 항목이 포함된다. 분석 결과, 학교 수에 있어서 3개의 고등학교 유형중 일반고는 가장 많은 수가 운영되고 있고 특수목적고는 그 수가 가장 적어 학교 수에서 차이가 많으며 특히 자율고와 특수목적고는 도서벽지에 존재하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세부 항목별로도 지역별, 학교 유형별로 차이가 드러났는데 이는 고등학교 다양화 프로젝트를 통해 학교 교육의 선택권을 확대했고 자율화의 방향에 맞춰 고등학교 교육체제를 개편한 것에 기인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역 간, 학교 간의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낮추고 공교육을 내실화를 기하는 교육투자의 공평성 확보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hich factors have an effect on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based on the data(2004~2007) of 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tion & Training and Social Survey(2010) of Statistics Korea. The objects of analysis are targeted by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s despite of the insufficient school status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3 classification of high school(general high school, autonomous high school, special purposed high school). The identifying criteria are selected from the core indicators presented by the web-site(www.schoolinfo.go.kr), relevant factors of school satisfaction especially in respects to the educational finance. The content items are the several major indicators in a government notice, including the number of schools, students and teachers closely connected with the investment of education in terms of improving the condition of education. The standard of analysis fall into the subcategories as follows: students per class in the status of students, students per teacher in status of teachers, teaching hours per week and th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after school program in the condition of education, and take-up of government benefits for school lunch in the educational activity. The selected indicators for analysis are in collusion with the school effectiveness about how the fundamental conditions affect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verall school life and performance. First of all, the outcomes of analysis show that the number of the general high school is the highest among those 3 types of high school and special purposed high school has the lowest numbers of school, so there is a hug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high school. Also, the special purposed high school and the autonomous high school do not exist in islands and isolated areas. It causes the characteristics of disparity by provinces and by types of high school. Furthermore, the migration of students to large cities for better education may hinde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s. More specifically, the gaps are great in 6 indicators of analysis is produced between regions and schools of each type mentioned above. That may result from the system reform of high school through the project of high school diversification focused on the level of autonomy in addition to the extension the choice of school sel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public education and secure the equity of investment in education to make sure of reducing the gap in education by intra-regional and school to school and easing the burden of educational expenses on studen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영(Kim Mi young),김보화(Kim Bo hwa). (2014).학교 만족도 향상을 위한 학교효과 관련 지표 비교 분석. 교육문제연구, 20 (1), 21-42

MLA

김미영(Kim Mi young),김보화(Kim Bo hwa). "학교 만족도 향상을 위한 학교효과 관련 지표 비교 분석." 교육문제연구, 20.1(2014): 2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