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덕궁 후원의 꽃구경 모임에서 정조와 규장각 관원이 지은 시 모음

이용수 355

영문명
Two Poetry Handscrolls Written by King Jeongjo and the Gyujanggak officials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palace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손명희(Son Myeng hee)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3호, 82~95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27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내원상화임자갱재축 (內苑賞花壬子賡載軸)>과 <내원상화계축갱재축 (內苑賞花癸丑賡載軸)>은 조선후기 문예군주로 평가받는 정조(正祖, 1752~1800, 재위 1776~1800)가 자신의 친위세력이라 할 수 있는 각신(閣臣, 규장각 관원)들과 창덕궁 후원에서 ‘내각상조회(內閣賞釣會) 를 갖고 함께 꽃구경과 낚시를 하고 시를 지으면서 제작한 친필갱재축이다. 임금이 신하와 함께 수창하면서 제작된 시축 가운데 어제어필을 비롯하여 당시 참가자들의 친필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드문 사례이다. 본고는 이들 갱재축의 제작배경이 되는 내각상조회 및 각 갱재축의 현상과 내용을 파악한 후 두 갱재축이 지니는 문화사적 의미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1792년(壬子) 3월 21일에 정조는 규장각 제학 오재순(吳載純) 등 27명의 신하와 창덕궁 후원의 농산정(籠山亭)에서 꽃구경을 하고 수택재(水澤齋)에서 고기를 낚고 춘당대(春塘臺)에서 화살을 쏘았다. 이후 정조는 주찬(酒饌)을 내리고 운자(韻字)를 나누어 신하들과 연구시(聯句詩)를 지었는데 이 때 제작된 시축이 <내원상화임자갱재축>이다. <내원상화계축갱제축>은 1793년(癸丑) 3월 20일에 그 해가 계축년(癸丑年)이고 그 날 또한 계축일(癸丑日) 인 것을 기념하여 난정수계 고사(蘭亭水禊 故事)를 본 떠 옥류천(玉流川)의 곡수구(曲水溝)에 술잔을 띄워 술을 마시며 참여자들이 각기 종이에 지은 시를 이어 붙인 것이다. 난정고사에 부합하기 위해 정조는 정민시 등 규장각 전·현직 관원과 그 자제 및 일찍이 승지나 사관을 지낸 사람까지 불러들여 참가자는 40명에 달하였다. 난정고사를 모방한 계축년의 모임은 <조선왕조실록> 등의 자료에서 내각상조회 중에서도 가장 성대한 일로 칭송되고 있다. 이 두 점의 친필 갱재축은 정조가 각신이란 특정 관원들과 특별히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갱재賡載를 통해 상하 간에 적극적으로 소통함과 아울러 유대를 강화하고자 하였음을 실증해 준다. 서예사적으로도 정조를 비롯하여 당대 정치와 사상을 주도했던 규장각 관원들의 친필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또한, 색지 및 금가루·운모가루 등으로 장식한 종이는 조선후기 왕실에서 사용한 최상급 종이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ntroduces and examines two poetry handscrolls, Naewonsanghwaimjagaengjaechuk and Naewonsanghwagyechukgaengjaechuk, which were written by King Jeongjo (1752~1800, r. 1776~1800), who led a cultural resurgence of literature and art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is trustworthy officials, who mostly worked for the Gyujanggak, built in the first reign of King Jeongjo, to reinforce royal authority and to improve scholarship. King Jeongjo regularly had spring meetings to appreciate flowers and fishing with the Gyujanggak officials in the rear garden of the Changdeokgung palace during the early 1790s. After illuminating the activities and features of the meeting, this research analyzes not only the literary and diplomatic meanings of the two poetry handscrolls but also their political implication. Naewonsanghwaimjagaengjaechuk was produced at the spring meeting held on March 21, 1792. During the meeting, King Jeongjo and the Gyujanggak officials appreciated spring flowers at Nongsanjeong pavilion, enjoyed fishing at Sutaekjae (what is now called Buyongjeong pavilion), and shooting arrows at Chundangdae. The king granted wine and food to the officials. Then the king improvised a poem, and the officials composed their own poems according to the rhymes in his poem. The next year was the fiftie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癸丑) circulating twenty four times after the year 353 when forty-two scholars including Wang Xizhi held the well known Orchid Pavilion Gathering. To commemorate the same fiftie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with the year of the Gathering, King Jeongjo expanded the limit of the participants of the 1793 spring meeting and had the meeting held at Okryucheon. The participants sat along the banks of a stream and wrote poems sipping wine. This spring meeting was recorded as the most magnificent meeting on the record of the Annals of King Jeongjo, and the poetry hanging scroll produced at this meeting reaches 25 meters. The poems sing of the magnificence of their meeting in comparison to the original Orchid Pavilion Gathering, the blessing of the King, and the prosperity of the royal family. The two poetry handscrolls display King Jeongjo’s calligraphy as well as that of the Gyujanggak officials who led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trend of the period. Also, the papers on which the poems are written present the best quality used in the court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fined polish, various colors dyed by natural herbs, and the use of powdered mica and gold. Furthermore, we can guess from them and other documents related to the spring meeting that King Jeongjo sought to communicate and reinforce his relationships with the Gyujanggak officials through the activity of composing poetry.

목차

Ⅰ. 서론
Ⅱ. 내각상조회(內閣賞釣會)와 내원상화갱재축(內苑賞花賡載軸)의 제작
Ⅲ. <내원상화임자갱재축> 및 <내원상화계축갱재축>의 현상과 내용
Ⅳ. 결론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명희(Son Myeng hee). (2010).창덕궁 후원의 꽃구경 모임에서 정조와 규장각 관원이 지은 시 모음. 고궁문화, (3), 82-95

MLA

손명희(Son Myeng hee). "창덕궁 후원의 꽃구경 모임에서 정조와 규장각 관원이 지은 시 모음." 고궁문화, .3(2010): 8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