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반소(半燒)된 공신초상화의 주인공 검토

이용수 197

영문명
Identification of a Half-Burnt Portrait of Merit Subject in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임현우(Lim Hyun woo)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3호, 8~30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27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신하의 복장을 한 거대한 초상화 족자 한 점이 반쯤 소실되고 주인공을 모르는 채로 전해져왔다. 분명히 창덕궁 선원전에서 소장하고 있던 초상화이고 그 규모로 봤을 때 王에 버금가는 중요한 인물이거나 어떤 사연이 있는 영정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과연 주인공이 누구인가에 대한 호기심이 들었으며, 이를 시작으로 여러 자료를 찾아본 결과 17세기에 제작된 공신상들과 유사함을 볼 수 있었고 추존된 임금을 포함한 조선의 왕 중에서 17세기에는 원종(元宗)이 잠저(潛邸) 시절에 공신에 책봉되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신으로 책봉되면 나라에서는 초상화를 그려주어서 그 모습이 후세에 전해지도록 하였는데 원종은 정원군(定遠君) 시절에 선조 때의 호성공신(扈聖功臣)과 광해군 때의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봉되었기 때문에 반소된 영정은 둘 중의 하나이다. 그 중 양식적으로 보았을 때 사모(紗帽)의 모정(帽頂)이 낮고 하얀 소매가 드러나지 않는 점과 채전(彩氈)의 문양 등이 광해군 때의 공신상들과 유사하여 익사공신상으로 보았다. 과연 『승정원일기』 등의 사료를 통해서 진전(眞殿)에 모셔진 원종의 어진은 원래 정원군 시절의 공신상이었음을 알 수 있었고 사모의 높이가 상당히 낮았음이 증명되었다. 元宗 御眞의 제작과 관련된 구체적 기록은 1872년의 이모(移摹)와 1935년의 모사(模寫)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는데 1872년 이모 과정을 기록한 의궤에서 드러난 치수와 반소된 영정의 크기가 거의 일치하여 원종의 어진임을 증명하였으며 1935년의 모사 과정을 기록한 등록을 통해서 당시 화사였던 김은호(金殷鎬)가 의복이 드리워진 형태와 의자의 측면이 불합리하여 수정을 건의한 내용이 반소된 영정에서 드러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이는 1935년에 김은호가 그린 원종의 어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원군의 공신상은 사후에 왕으로 추존된 이후 영희전을 거쳐서 대한제국 말기에 창덕궁 선원전으로 이안되었는데 일제강점기를 거쳐서 한국전쟁 때 여러 어진과 마찬가지로 부산으로 피난을 갔다가 화재를 당하였고 요행히 그 일부가 남았던 것이다. 그러나 우측 상단에 있었을 표제가 불타버려서 주인공을 모르는 상태로 남아있었다. 새롭게 밝혀진 원종의 어진은 비록 범본이 잠저 시절의 공신상이지만 극소수에 불과한 어진 자료가 늘어난 것이어서 그 가치가 매우 크며 영조의 잠저 시절 초상화인 연잉군 영정 외에는 왕자의 초상화가 전혀 없는 실정에서 17세기 초반 왕자의 차림새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An anonymous portrait in a subject’s attire has survived on a large, half-burnt hanging scroll. The large scale of the portrait and its provenance from the Royal Portrait Hall (Seonwon-Jeon, 璿源殿) of Changdeok Palace imply that the depicted person should be an important figure next to the king or one with some significant background. Such particularity and anonymity inspired the author to research about who he is. Through a comparative studies of material, similar features and formats were found in the to 17th Century portraiture of Joseon merit subjects. It was also found in records that among all Joseon kings including those who were posthumously enthroned, honorary King Wonjong (1580~1619) had been entitled a merit subject in early 17th century before his enthronement. King Wonjong, who was Prince Jeongwon (定遠君) then, had been invested twice as merit subject, first in 1604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and second in 1613 during the reign of Prince Gwanghae (光海君), and it was customary in Joseon government to hand down the images of merit subjects for generations by producing portraits upon their investment. The stylistic analysis of the large anonymous portrait infers its production period to be around the merit subject investiture of 1613, because the portrait’s short official’s hat, hidden white cuffs and carpet patterns showed similarities to the surviving portraits merit subjects during the Prince Gwanghae’s reign. Records such as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承政院日記) also confirms that the royal portrait of King Wonjong in the royal portrait halls depicted an image of Prince Jeongwon as a merit subject, and that his official’s hat was designed short. There are two reproduction cases of King Wonjong’s portrait specifically mentioned in records. The Royal Protocols on 1872 renewal process of King Wonjong’s portrait records dimensions of the portrait that corresponds with the half-burnt hanging-scroll, thus proving them to be the same portrait. In another record, which is the transcript of documents regarding duplication of the portrait in 1935, a court painter Kim Eun-Ho (金殷鎬) suggested to revise of awkward depictions such as the drape of the robe and side of the chair. Since the half-burnt portrait bears the revised features suggested by Kim, it must be the very portrait of King Wonjong by Kim Eun-Ho in 1935. The portrait of Prince Jeongwon was enshrined to Yeonghui-Jeon following his posthumous enthronement, and later moved to Seonwon-Jeon of Changdeok Palace in late Korean Imperial period. It was kept there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n, just like all other royal portraits from Seonwon-Jeon, it was evacuated to Busan during the Korean War where it caught fire. Although this portrait survived by luck, its upper-right corner with a cartouche bearing inscriptions was lost so that the person depicted has remained unidentified. Although this royal portrait depicts an image of a prince in merit subject’s attire, its re-identification makes a valuable addition to surviving examples of royal portraiture, of which only a minute portion survives. It also made the portrait of Prince Yeoning (later King Yeongjo) no longer the solely surviving example of a Joseon Prince’s portrait. There is no doubt this portrait has become a key reference to understand the early 17th Century attire of a Joseon prince.

목차

Ⅰ. 머리말
Ⅱ. 현재의 상태
Ⅲ. 원종과 공신책봉
Ⅳ. 반소된 공신초상화 고찰
Ⅴ. 원종 어진의 제작과 진전 봉안
Ⅵ.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현우(Lim Hyun woo). (2010).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반소(半燒)된 공신초상화의 주인공 검토. 고궁문화, (3), 8-30

MLA

임현우(Lim Hyun woo).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반소(半燒)된 공신초상화의 주인공 검토." 고궁문화, .3(2010): 8-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