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의 항복과 한반도 분단:

이용수 1065

영문명
Japan’s Surrender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Delay of the Surrender and Responsibility of the Divisio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최영호(Choe, Yong-ho)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62집, 159~226쪽, 전체 6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10,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 분단의 역사적 근원은 아직 정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자 소련의 동의하에 미국이 “일반명령제1호”를 반포하여, 38도선을 경계로 미국과 소련이 남·북한을 각각 점령함으로써 한반도가 분단되었다 고 알려져 있다. 이는 분단의 근원을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한다. 분단의 직접적인 원인은 소련이 일본에게 8월 8일 선전포고를 하고 38도선 이북지역에 주둔하게 된 결과이다. 선전포고할 때까지 소련과 일본은 중립조약을 맺은 상태였다. 만약 소련이 참전하기 전에 일본이 항복하였다면 소련이 북한에 진주할 이유가 전혀 없었다. 실제로 일본은 1944년 하순부터 이미 완전 패전을 스스로 인정하고 있었다. 특히 1945년 5월 독일이 항복하자 일본은 승전의 희망을 버리고 종전의 길 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만약 일본이 이때 직접 미국과 접촉하여 종전을 모색했더라면 아마도 전쟁은 쉽게 끝났을 것이었다. 그러나 일본은 미국을 기피하고 소련에게 중재자가 되어달라고 요청하였다. 이로 인해 일본의 항복은 지연되었고 소련에게 참전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말았다. 일본이 소련참전 이전에 항복하였다면 소련군의 북한 진주는 없었을 것이었고 한반도 분단도 없었을 것이었다. 한편 소련은 얄타협정에서 대일 전쟁에 참가하는 대가로 만주의 막대한 이권을 약속받은 상태였고, 이 이권은 소련이 참전을 했을 경우에만 획득할 수 있는것이었다. 소련의 공격을 예견하고 있었던 일본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소련에게 중재를 요청하였다. 중재요청에는 일본이 기도한 황당한 꼼수가 있었다. 즉 일본은 중국에서 일본군이 철수한 후에 형성될 “힘의 공백지”를 둘러싸고 미국과 소련이 충돌하도록 유도한 후 소련과 손을 잡고 미국에 대항한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소련의 야망을 전혀 고려하지 못한 환상이었다. 그 결과 일본의 항복이 지연되었고 한반도 분단의 비극을 초래한 것이다.

영문 초록

In spite of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e issue of how Korea came to be divided at the end of the World War II in 1945 has not yet been fully explored. What has been so far been known is that when Japan surrendered on August 15, the Soviet Union had already moved into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and was in a position to seize control of the entire Korean Peninsula, while the United States troops closest to Korea was some 600 miles away in Okinawa. Faced with this situation, the United States proposed and the Soviet Union accepted the proposal to disarm the Japanese armed forces in Korea, divided along the 38thParallel. This s true, but it is a only a tip of an iceberg. What had really happened was that the Pacific war against Japan was fought exclusively by the United States, and by the end of 1944, Japan realized that it had lost the war. With the final capitulation of Germany in early May 1945, it became clear even to the hardcore Japanese war-hawks that the war situation was hopeless. If Japan had reached out to the United States at this time, the war would have ended easily without sacrifice of millions of innocent lives, including those in Hiroshima and Nagasaki. If Japan sought peace with America then, there would have been no need for the Russian troops to move into Korea, thus sparing the fate of a tragic division of Korea. What Japan decided at this critical juncture was to continue to fight America to the last man on its homeland and, at the same time, to seek Soviet assistance in mediating peace. This delayed Japan’s surrender, which in turn resulted in the division of Korea. What was the motive for the Soviet mediation? Japan concocted a delusionary scheme to drive a wedg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nd, going further, to induce these two allies into military confrontation in China, whereby Japan would align with Soviet to resist America in the hope of perpetuating its hegemonic dominance in Asia.

목차

I. 머리말
II. 일소중립조약 (日蘇中立條約)
III. 소련의 참전 약속: 카이로 선언 (Cairo Declaration)과 테헤란 (Tehran) 회담
IV. 얄타협정 (Yalta Agreement)
V. 일본의 패배 확인과 화평의 움직임
VI. 고이소(小磯)내각
VII. 고노에상주문 (近衛上奏文)
VIII. 소련의 일본공격 준비
IX. 소련의 중재 요청
X. 소련과의 협상
XI. 고노에 특사 파견계획 (近衛特使派遣計劃)
XII. 천황재위문제 (天皇在位問題)
XIII. 포츠담회담 (Potsdam Conference)
XIV. 포츠담선언 (Potsdam Proclamation)
XV. 항복지연(降伏遲延)의 이유
XVI. 미-소 충돌(美蘇衝突)의 계략
XVII.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영호(Choe, Yong-ho). (2017).일본의 항복과 한반도 분단:. 역사문화연구, 62 , 159-226

MLA

최영호(Choe, Yong-ho). "일본의 항복과 한반도 분단:." 역사문화연구, 62.(2017): 159-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