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위 불교사원지 출토 녹유기와에 대한 연구

이용수 293

영문명
A Study of the Green-glazed Tiles Excavated at a Northern Wei Temple Site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양은경(Yang Eun Gye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51輯, 89~12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운강석굴 제33~45굴 상부에 위치한 북위 불교사원지에서 출토된 300여 점의 녹유암키와에 대해 사용처, 제작기법, 녹유기술의 세 가지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녹유암키와는 사찰의 전체 건물지에서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특정한 건물이 아닌 사찰 전반에 사용된것으로추정하였다. 녹유기와는평성궁전지에서도출토되었는데, 이는평성궁의사당, 태극전, 유리대에녹유기와가사용되었다는문헌기록과부합함을발견하였다. 이처럼 북위평성시대녹유기와는궁전, 황실사찰과같이격이높은건물에제한적으로사용된것으로 판단하였다. 운강석굴 상부 사원지의 녹유암키와는 모골와통에 점토띠쌓기로 성형되었다. 와도질과 정면조정 등 성형과 분할과정에서 일반 암키와에 비해 섬세하고 복잡한 과정이 확인되었다. 그런데현지조사과정에서이녹유암키와는태토, 소성의녹유기술과관련하여특이한사실이 발견되었다. 태토에서는회백색태토와화장토가확인되었는데, 필자는자토즉고령토일가능성을조심스럽게 제기하였다. 그리고 암키와 표면의 수많은 기포 속에 녹유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고 깨끗하게남아오는현상에대해, 재벌구이즉2차소성의가능성도제시하였다. 녹유암키와에서 발견되는 북위 녹유기술의 변화는 대월지인이 오색유리를 현지 생산하였다는 문헌기록에서 그 배경을 설명하였다. 운강 상부 사원지의 녹유암키와가 격이 높은 건축물에 제한적으로 사용된 개념은 한나라에서 직접적인기원을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모골와통에 점토띠쌓기를 한 암키와 성형기법은 오호십육국시대 업성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손으로 눌러 양면에 표현한 지두문은이지역의전통적인요소에서그기원을찾을수있었다. 그리고녹유자체의기술은 서역에서 평성지역으로 전래된새로운기술이 가해진것으로추정하였다. 결국 운강사원지의 녹유암키와는 오호십육국시대 업성요소와 평성의 지역적인 특징 그리고 서역의 신기술이 혼합되어 탄생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북위평성시대를이어북위낙양, 동위, 북제대의녹유기와는실물이발견되지않았다. 그러나 문헌기록과 벽화묘의 사례를 통해, 이 시기 녹유기와는 격이 높은 건물에 사용되었으며, 도자기와도 비견될 정도로 고품격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당나라의녹유기와는장안과낙양지역을중심으로궁전, 황실사찰, 당삼채가마에서다양한 종류로많은수량이발견되었다. 그러나당나라녹유기와는여전히격이높은건물에만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녹유기와의 성형기법은 남북조시대의 모골와통에 점토띠쌓기를 유지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당나라 녹유기와는 당시 극성한 당삼채의 삼채가 본격적으로 등장할 뿐만 아니라 고령토와 재벌구이가 보편적으로 확인되었다. 당나라 녹유기와는 전통적인 기와 성형기법과 도자기 혹은유리의새로운녹유기술이혼합되어형성된것으로추정하였다. 당나라의새로운녹유기술은 문헌기록 속 하조(何稠)와 같은 서역출신 장인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필자는지금까지조사된기와가마와 도자기가마를통해, 북위평성시대와당나라녹유기와는 녹유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기와를 생산한 가마가 아닌 녹유기물 혹은 도자기를 제작한 가마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 collection of about 300 green-glazed roof tiles excavated at a Northern Wei temple site in the upper area of the Yungang Grottoes (numbers 33 to 45) in Shanxi Province, China. The main discussion is focused on three aspects of the artifacts, namely, their purpos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glazing. The roof tiles were discovered at the building site of a Buddhist temple that once stood above Yungang Grottoes nos. 33 to 45, suggesting that they were used on all the buildings of the temple. Green-glazed roof tiles were also unearthed at the Pingcheng palace site, providing tangible evidence to support an ancient record which states that green-glazed tiles were used on the palace s shrine, Taiji Hall and Liuli Pavilion. The discoveries also suggest that in Northern Wei green-glazed roof tiles were used exclusively for special state buildings, such as imperial palaces and temples, during the Pingcheng period. The green-glazed roof tiles unearthed from the Yungang temple site were made using the ring-building technique together with tile molds. Traces of the use of a tile cutter and surface treatment reveal that the tiles were produced by a more elaborate and complex manufacturing process than that used to produce ordinary roof tiles. A closer examination of the tiles also revealed distinct features in terms of the clay and firing process used in their production. The body of the examined roof tiles is made of light gray clay with engobe slip, which appears to be very similar to kaolin. The surface is also marked by an even coating of green glaze, although there are numerous bubbles, suggesting that the tiles were completed after glost firing. The development of the green-glazing technique in Northern Wei demonstrated by these roof tiles is related with the ancient record that Da Yuezhi artisans produced five-colored glassware in Northern Wei. The use of green-glazed roof tiles for special structures such as the Yungang temple buildings can be traced back to the tradition established in the Han Dynasty (206 BC~220 AD), while the use of tile molds combined with the ring-building technique is traceable to the Han culture in Yecheng during the Sixteen Kingdoms Period, and the finger-tip impressions decorating the surface to the local tradition. Meanwhile, a new glazing technique is presumed to have arrived at Pingcheng from the Western Region. In conclusion, the green-glazed roof tiles of the Yungang temple site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local cultural achievements of Yecheng during the fourth and fifth centuries and new technology introduced from the Western Region. Although no discoveries have been made to show that the green-glazed roof tiles were used in Luoyang of Northern Wei, Eastern Wei (534~550) or Northern Qi (550~577), ancient records and tomb murals of these periods suggest that in these states roof tiles of the same type were used for state buildings and that their quality might have been comparable with the top-quality ceramic wares of the period. A sufficiently abundant quantity of Tang green-glazed roof tiles has been excavated at various archaeological sites of imperial palaces, temples and Tang Sancai kilns in Changan and Luoyang to show that even in the Tang period (618~907) green-glazed roof tiles were still being used exclusively for prestigious buildings, and that they were made using the ring-building technique with molds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420~589). Differences naturally emerged as the Tang tiles began to be decorated with Sancai glazing in a full-fledged manner and made of Kaolin clay and finished with glost firing. Tang roof tiles were then produced using a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shaping method and the newly introduced glazing technique. The use of the new green-glazing technique developed in Tang suggests the importance of the role played by artisans, such as Xi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녹유기와의 출토양상과 특징
Ⅲ. 녹유기와의 기원과 발전과정
Ⅳ. 녹유기와의 전개양상과 변화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경(Yang Eun Gyeng). (2017).북위 불교사원지 출토 녹유기와에 대한 연구. 선사와 고대, 51 , 89-122

MLA

양은경(Yang Eun Gyeng). "북위 불교사원지 출토 녹유기와에 대한 연구." 선사와 고대, 51.(2017): 89-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