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양시 교육환경 실태 조사 연구
이용수 38
- 영문명
- Educational environment in Anyang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 저자명
- 정문성(Moon Seong Jeong)
- 간행물 정보
- 『기전문화연구』제34집, 147~16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안양교육의 현실을 바로 보기 위해서는 학령기 자녀를 가진 안양주민이 피부를 통해 느끼는 경험을 들어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교육환경의 차이가 크다고 느끼는 A지역과 B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64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양 주민이 피부로 느끼는 안양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긍정적이다. 둘째, 안양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지역간 격차는 매우 크게 나타난다. 이것은 교육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생활환경, 문화・예술 환경, 정치・행정 서비스에서도 이러한 격차는 나타난다. 셋째 안양교육에 우선 투자 순위는 교육과정의 연구와 개발을 통해 학교수업을 질적으로 개선해야 한다(35.5%) 에 가장 높은 응답을 하였다. 넷째, 사교육 환경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 안양 교육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과외 등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대책 마련(21.6%) 이다. 여섯째, 안양이 전국에서 손꼽히는 교육도시로서 성장할 수 있는가의 전망에 대해서는 73.9%가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residents attitude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Anyang. The data for this study, which was based on a survey of 264 residents in Anyang, was analysed with t-test and chi-square test. Anyang residents have positive attitude to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but they think there are some regional disparity at all of parts. They also believe Anyang will have remarkable progress in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future.
목차
요약
Ⅰ. 서언
Ⅱ. 연구의 방법과 내용
Ⅲ. 안양교육에 대한 시민의 인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한국고지도연구 제16권 제2호 목차
- 『도로고』(1770)와 『대동지지』 「정리고」(1864)의 도로망 복원과 노선 비교(1) - 경유지를 중심으로
- 읍지에 반영된 현실과 인식 - 『新定牙州誌』 번역 과정에서의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