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전소설의 장르 전환 연구

이용수 828

영문명
A Study on Genre Adaptation of Classical Korean Novel - Focused on movie contents -
발행기관
한국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이동근(Lee Dong Geun)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콘텐츠』17호, 115~14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천콘텐츠를 활용한 새로운 콘텐츠의 등장이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영화콘텐츠는 현대인의 여가생활에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화콘텐츠의 소재 개발의 방법이 다양화하면서 원천콘텐츠의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OSMU(One Source Multi-Use)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웹툰, 만화, 소설 등의 원작을 활용한 영화화에 대한 이야기는 주변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원작의 인지도와 영향력으로 인해 대중들의 관심도 많이 몰린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화콘텐츠의 소재개발 방법으로 장르전환을 활용한 사례를 살펴보고, 새로운 영화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를 위해 원작을 활용한 새로운 소재개발로서 고전소설의 영화화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초기에는 고전소설의 이야기와 서사를 변화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영화 산업의 발달과 대중의 영화에 대한 기대와 수준이 변화하였다. 이야기와 설정을 그대로 가지고 오는 방식의 매체전환은 보편적 익숙함을 넘어선 진부하고 지루한 이야기의 반복으로 여겨지고, 이는 대중적인 소구력에 대한 경쟁력의 부재로 나타난다. 고전소설의 영상매체로의 전환 양상은 변형 없이 그대로 수용하여 재생산하는 경우, 고전소설 속의 특정한 모티프만 수용하여 새로운 스토리를 창조하는 경우, 특정한 고전소설과 관련이 없어 보이지만 그 속에 해석과 상상이 담겨 있는 경우 등이 있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고전소설의 모티프 설정을 차용하는 경우와 제2창작자의 원작에 대한 해석으로 제작된 작품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영화콘텐츠는 대중으로부터의 반응이 빠르게 나타나고, 소비되는 시간이 2시간 남짓으로 짧으며, 디지털과 인터넷 기술의 발달 등으로 작품에 대한 대중의 즉각적인 평을 받을 수 있다. 영화 전문 사이트뿐 아니라 각종 포털사이트에서도 영화에 대한 평을 손쉽게 볼 수 있도록 정리되어 있고, 이는 영화를 소비하기 전에 이미 대중은 영화에 대한 어느 정도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나, 원작이 있는 영화에 대해서는 이야기의 예측이 더욱 쉬워지게 되고, 이야기의 노출은 대중의 기대하락으로 이어져서 다른 작품들과의 경쟁력에서 뒤처지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소설의 영화로의 전환 중에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모티프와 설정의 차용과, 제2창작자의 원작에 대한 해석으로 인해 이루어지는 장르전환에 대하여 논하였다. 구체적인 작품으로는 <춘향전>과 <방자전>, <장화홍련전>과 <장화, 홍련>, <전우치전>과 <전우치>이다.

영문 초록

As cultural content industry has been accelerating, the advent of new contents using original contents has been common these day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content has been a part of our lives, and especially movie content has become leisure activity which takes a big part of modern people. In this circumstance, as the way of developing materials in movie content is diversified, the importance of the value of the original content has been brought up. The recognition of OSMU (One Source Multi-Use) having been expanded, the development of movie content has advanced briskly. The story of making web toons, comics, and novels etc into movies can be easily accessed, and due to awareness and influence of movies, it is true that the interest of public has been increased. Accordingly, this thesis has looked into the cases using a turn of field as developing method of materials of movie content, and for vitalization of development method of movie content, discussed new content production using the original, focusing the cinematization of classical novels. In shift of media to the early movies of classical novels, it was frequent to use stories and description without any changes. However, as the development of movie industry and expectation and standard of the public got higher, the shift of media in classical way reached the public as the repetition of stale and boring stories, it appears to be the absence of competitiveness about appealing power from the public. In previous study, it was defined ‘the aspect of the shift from classical novels to visual media is started in the case of reproducing the stories and characters of classical novels without any changes, when creating new stories, accepting particular motif in classical novels, or on the face of it, though it seems that it is not related to specific classical novels, the interpretation of the novels and imagination stimulated by it and so on, the range and depth of the shift varies.’ In the visual media of classical novels today, above all, proceeding the shift into movie media, adopting the motif or setting of classical novels and the work produced by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original of the second creator show a steady rising tendency. It is for that reason that the public response of movie contents is faster than that of other cultural content industry, spending time as about 2 hours is shorter, and due to development of digital and internet technology, the immediate response of movies from the public can be possible. On many kinds of portal websites as well as the websites devoted to movies, the comments to each film are listed in an easy way for any visitors, and this can make the public get some information about movies before watching them. Also, the movies which have the original are become easier to be expected, the exposure of the stories about movies could bring the result of decreased expectation, and fall behind in the competition with other movies. In the study, I would like to know the most effective motif and adoption of setting in the media shifts from classical novels to movies which are ongoing, and the shift of genre that consists of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original of the second creator.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근(Lee Dong Geun). (2016).고전소설의 장르 전환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17), 115-146

MLA

이동근(Lee Dong Geun). "고전소설의 장르 전환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17(2016): 115-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