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의 민족가극 <춘향전>의 방창(傍唱)에 관한 연구

이용수 5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김정환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콘텐츠』8호, 93~12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북한 음악극에는 독특한 가창 양식이 있다. 모든 노래가 ‘절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과 무대 밖에 합창단 형식인 ‘방창’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절가와 방창은 무대 위의 등장인물과 무대 밖의 방창단에 의해서 적절히 나누어지거나 혼합해서 불려진다. 북한 음악극에는 무대 밖에서 노래를 부르는 방창이라는 양식은 극에서 다양한 역할을 한다. 제3자적 객관적 위치에 존재하면서도 극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극의 해설자, 등장인물의 심리대변자, 무대생활을 지속시키는 조력자, 작품의 평가자 등의 기능을 한다. 이런 방창의 기능을 통해 공연의 이야기 전개가 수월하게 하고 관객들은 쉽게 극에 몰입하게 된다. 무대공연에서 무대적인 제한성을 극복하고 서사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방창’을 연구하고 현대 음악극 공연에 활용해 볼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Uniqu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music dramas are especially passage-type songs (Jeolga) and off-stage singing (Bangchang). Jeolga is chanted by either on-stage characters or off-stage chorus. However, on occasion it is chanted by both of them together. In music dramas of North Korea, Bangchang sung by off-stage chorus plays a variety of roles. From an objective standpoint, it actively intervenes in the play as commentator and appraiser of the play, spokesperson of characters, and helper for a continuous and consistent stage. Thanks to these functions of Bangchang, story of the drama could be more easily developed and moreover audience could be more easily immersed in the drama. It is worth making a study and making the best use of Banchang for modern music drama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tage and to develop the narrativity of dramas.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북한 음악극의 역사적 전개와 양식적 특징
Ⅲ. 민족가극 <춘향전>의 방창 연구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환. (2012).북한의 민족가극 <춘향전>의 방창(傍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8), 93-127

MLA

김정환. "북한의 민족가극 <춘향전>의 방창(傍唱)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콘텐츠, .8(2012): 93-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