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初期 經典과 餓鬼 圖像에 관한 一考察

이용수 314

영문명
A study of early Buddhist scriptures and Preta images
발행기관
동국대학교 박물관
저자명
박정원(Park Jeong won)
간행물 정보
『佛敎美術』第28號, 67~8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2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水陸會圖의 화면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존재는 화면 중앙에 그려진 커다란 餓鬼일 것이다. 餓鬼는 산스크리스트어로 preta, 팔리어로는 peta라 하는데 이를 “주리다, 굶주리다”를 의미하는 餓에 “귀신, 혼백”을 의미하는 鬼를 합하여 漢譯한 것이다. 이러한 Peta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가장 이른 불교의 초기 경전인 『Petavatthu』는 주로 과거·전세의 업과 그 업에 따라 얻는 고통과 그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Petavatthu』에서 이야기 하는 peta의 모습은 그 전세의 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배고픔과 목마름에 고통 받는 preta[peta]가 등장한다. 『Petavatthu』를 통하여, 전세의 악업에 의하여 고통 받고 있는 peta, 특히 배고픔과 목마름에 고통받는 peta의 형태와 공덕의 회향이라는 그 구제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에서의 아귀는 초기 작품에서는 『Petavatthu』에서 언급하고 있는 아귀와 같이 깡마른 모습으로 표현된다. 唐代 수륙재 관련 경전들이 번역되고 宋代에 의궤들이 정리되어 “목이 가늘고 배가 큰 아귀”에 대하여 정확히 언급되면서, 현재 우리가 아귀로서 인식하고 있는 그러한 아귀의 도상이 성립된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시대 수륙회도의 아귀는 전기에는 아귀의 전형적인 형태이며, 중국의 수륙재 관련 그림이나 도상집인 『水陸道場神鬼圖像』에서 확인할 수 있는 針喉大腹과 입에서 불을 뿜는 등의 모습을 충실하게 표현하려 했다. 그러나 조선후기의 작품들에서는 초기 작품들과 일부 작품에서만 조선전기와 유사한 도상을 계승하였을 뿐, 점차 형식화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first thing noticeable in a picture of the Water and Land Assembly is thought to be the oversized preta (or ‘peta’) displayed at its center. The Sanskrit word ‘preta’ can be translated into “餓鬼” (literally meaning ‘starving ghost’)” in Chinese characters. Petavatthu, which is the earliest Buddhist scripture to mention ‘preta’, tells us stories about the suffering one must endure based on one’s deeds in a former life and how one can escape such suffering. According to Petavatthu, there is ‘preta’ who suffers from hunger or thirst, among the various appearances of pretas. Petavatthu also tells us that the way to escape from suffering by hunger or thirst is to dedicate oneself to virtue and perform charitable deeds for the benefit of others. In early Chinese paintings, pretas are portrayed as skinny beings as stated in Petavatthu. Buddhist scriptures about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were translated during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the relevant manuals were made during the Song Dynasty of China. As a result, pretas came to be painted as people with a thin neck and a large abdomen, as we recognize them today. The portrayal of pretas in pictures of the Water and Land Assembly made in the early Joseon period are those commonly found in the relevant pictures, i.e. people with a thin neck and a large abdomen, belching fire, as contained in Suryukdojang singwidosang, a Chinese collection of pictures and images about the Water and Land Ceremony. Those mad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came to display features of formalization gradually, with only some of them maintaining the types of images of the early Joseon period.

목차

Ⅰ. 머리말
Ⅱ. 『Petavatthu』와 Peta
Ⅲ. 餓鬼 圖像의 展開
Ⅳ. 水陸會圖에서의 餓鬼의 圖像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원(Park Jeong won). (2017).初期 經典과 餓鬼 圖像에 관한 一考察. 佛敎美術, (28), 67-85

MLA

박정원(Park Jeong won). "初期 經典과 餓鬼 圖像에 관한 一考察." 佛敎美術, .28(2017): 67-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