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기 화면분할형식 지장시왕도 고찰

이용수 868

영문명
Reflections on Jijangsiwangdo (a Painting of Ksitigarbha Bodhisattva) Using the Modern-Era Split-Screen Format
발행기관
동국대학교 박물관
저자명
최엽(Choi Yeob)
간행물 정보
『佛敎美術』第28號, 9~3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2.22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대기, 즉 조선말기를 거쳐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를 전후한 약 100년간 제작된 불화들 중에는 전통을 고수하며 제작한 작품들이 있는 반면, 개항 이후 유입된 새로운 문물과 풍속에 영향을 받아 새로운 도상과 화풍을 적용한 불화들도 종종 제작되었다. 본 논고에서는 그 중 한 화면을 여러 칸으로 구획하는 화면형식을 지닌 지장시왕도에 주목하여 그 도상과 화풍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이러한 형식의 지장시왕도는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한 권속들과 시왕, 그리고 각 시왕이 주재하는 지옥을 한 화면에 칸을 구획하여 배치한 작품들로, 지장시왕도 혹은 지장보살도와 시왕도를 결합하여 한 화면에 축약한 형식이다. 이들은 대체로 20세기 이후의 작품들로, 이러한 형식을 취한 작품들은 한 화면을 여러 칸으로 구획하는 방식을 취했다는 점 외에도 대체로 작은 규모, 간략하면서도 특징 있는 지옥의 표현, 그리고 서양화법의 적용 등 어느 정도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 형식의 지장시왕도는 근대기 사찰의 건축 형식과도 연관이 있다고 추정된다. 이 시기에는 지장시왕도 외에도 석가팔상도, 석가십육나한도, 극락구품도 등에서도 화면분할형식을 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의 불화들은 공통적으로 비교적 규모가 작은 전각에 봉안되며, 특히 본고에서 다룬 지장시왕도의 경우도 이와 같은 소규모 전각의 스케일에 맞도록 그 내용을 결합, 축약하여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현전하는 화면분할식 지장시왕도는 그 수가 많진 않지만, 근대기 나타난 새로운 양상의 지장보살도라는 점에서 시대성을 엿볼 수 있는 불화 중 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f the Buddhist paintings produced during the 100 years of the modern era,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some artworks adhered to traditional standards, whereas some paintings incorporated new icons and style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new cultures and customers introduced after the opening of ports. This article examines the iconography and style used in Jijangsiwangdo, a painting of Ksitigarbha Bodhisattva, which employs the split-screen format in which a single screen is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By utilizing the split-screen format, Jijangsiwangdo paintings incorporate a multiplesection arrangement in a single screen showing attendants and the Ten Kings of Hell, gathered around Ksitigarbha Bodhisattva (Jijangbosal), and portions of Hell each governed by a King of Hell. The format combines and condenses Jijangsiwangdo, or Jijangbosaldo, and Siwangdo (a painting of the Ten Kings of Hell) into a single screen. These artworks were generally created in the 20thcentury. Aside from the fact that they adopted the split-screen technique to show a single screen in multiple sections, they also share such characteristics as the small size, a simple but distinct expression of Hell, and the adoption of Western painting techniques. The use of the split-screen format in Jijangsiwangdo is deemed to be related to the architectural style found in modern-era temples. During this period, aside from Jijangsiwangdo, Seokgapalsangdo (painting of the Eight Great Events in the Life of Buddha), Seokgasipyuknahando (painting of the 16 disciples of Buddha), and Geukrakgupumdo (painting of the nine stages of blissful Paradise) also employ the split-screen format. These Buddhist paintings are enshrined in relatively small-sized palaces. The Jijangsiwangdo discussed in this article also seems to have combined and condensed its content to fit the size of the small palace. There are not many surviving Jijangsiwangdo paintings that use the splitscreen format. However, Jijangsiwangdo is still considered to constitute a genre of Buddhist art that reflects contemporary climate since it utilized an emerging style of the modern era.

목차

Ⅰ. 머리말
Ⅱ. 근대기 화면분할형식 지장시왕도의 현상과 화면구성
Ⅲ. 근대기 화면분할형식 지장시왕도의 표현과 기법
Ⅳ. 화면분할형식 지장시왕도의 제작 배경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엽(Choi Yeob). (2017).근대기 화면분할형식 지장시왕도 고찰. 佛敎美術, (28), 9-35

MLA

최엽(Choi Yeob). "근대기 화면분할형식 지장시왕도 고찰." 佛敎美術, .28(2017): 9-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