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전기 흉례 중 부묘의 고찰

이용수 170

영문명
A Study on Bumyoui among Funeral Rite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process of the ritual change and music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강연희(Kang Yeon hee)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19집, 105~14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 전기 흉례인 부묘의( 廟儀)의 의례과정과 음악의 쓰임을 고찰한 것이다. 부묘의는 3년 상기를 모두 마치고 담제( 祭) 후 지내는 제사로써 혼전에 있던 신주가 종묘에 들어가는 의식이다. 부묘의는 임금의 수레가 궁중을 출발하여 혼전으로 향하면서 시작되며 이 과정은 흉례에 속한다. 따라서 혼전으로 향할 때 신련의 앞뒤에 편성된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는 연주되지 않고, 혼전 의식 후 원 목적지인 종묘로 이동할 때 비로소 연주하게 된다. 연주 곡목은 성수무강·보허자·여민락 만·여민락 령 등으로 전부 당악곡이며, 이때부터 부묘의는 길례로 전환되어 모든 의식절차가 진행된다. 종묘에서의 의식은 일반 길례와 사용 악곡이나 진행 과정이 거의 동일하다. 다만 일반 길례와 다른 점은 새로 부묘된 신주를 종묘에 안치하고, 부묘대상의 악장을 새로 지어 노래하는 점에서 다르다. 이때 사용된 음악은 모두 아악곡이며, 왕의 출입과 관련된 승안지악이 자주 사용되었고, 아헌·종헌과 철변두에서 향악교주로 연주되었는데 이는 고려에서 지속된 유풍이다. 종묘에서의 의식을 마치고 임금이 환궁할 때 나례와 잡희, 성균관 유생과 교방의 가요 및 정재 헌정이 이루어진다. 이 중 나례와 잡희는 어룡만연지희·원숭이놀이·땅재주 등 대사 중심이 아닌, 놀이 중심으로 연행되며 기녀의 정재 헌정은 향악정재인 학무와 당악정재인 연화대·금척무 ·헌선도 4종이 확인된다. 정재 헌정의 반주음악은 향악정재와 당악정재 모두 보허자 령·오운개서조 인자·소포구락 령·헌천수 령과 만 등 당악곡만 사용되었다. 가례에 포함되는 하례와 음복연은 어가 환궁 후 실시된다. 환궁 후 임금은 중앙과 지방의 하례를 받고 뜻 깊은 행사를 무사히 마친데 대한 축하와 그 기쁨을 백성과 함께 한다는 의미에서, 도덕적 질서에 위배되는 범죄를 제외한 모든 죄인에게 사면령을 내린다. 이후 베풀어지는 음복연은 독립된 행사가 아니라, 길례·가례·흉례 등 여타 의례를 행한 후 연속적으로 거행되었다. 더불어 말 그대로 복을 마신다[음복(飮福)] 는 뜻으로 신명이 이미 흠향한 제물을 제사 지낸 사람이 먹고 마시는 행위를 통해, 신이 내린 복을 받는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포함한다. 이때의 음악은 정대업·보태평으로 양로연과 회례연 등 가례에 사용된 음악들이 연주되었다. 이처럼 부묘의는 흉례로 시작되어 길례, 가례로 의례 과정이 변화되나 전 과정을 볼 때 길례로서의 성격이 훨씬 강하다. 그럼에도 흉례에 포함된 것은 혼전에 있던 신주가 사적인 공간을 떠나, 공적인 공간 즉 종묘로 이관한다는 데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intended to look into bumyoui (祔廟儀, a court rite to enshrine a deceased s tablet in the ancestral temple from the spirit hall), which falls into the category of funeral rites out of the national five rite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1392~1910).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ritual change in the ceremony; from the part of a funeral rite to an auspicious rite (吉禮, gilrye), followed by a felicitous rite (嘉禮, garye), based on the ceremonial musics performed in the each procedure. Bumyoui begins with the departure of the king s carriage from the court to the spirit hall (魂殿, honjeon), which belongs to a funeral rite in which no drumming and blowing music is played during both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ceremony. Marching music, composed of Chinese musical pieces such as Seongsumugang, Boheoja, Yeominrakman, and Yeonminrakryeong, starts playing on the way to the ancestral hall (宗廟, jonmyo). Converting to the section of an auspicious rite, the ceremony at the ancestral hall appears to be identical to an auspicious rite in terms of music, the procedure, the musicians. However, bumyoui holds a different ritual process to enshrine the deceased s tablet in the ancestral hall,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auspicious rites. Court musical pieces are played for the ritual procedure at the ancestral hall, while Chinese and Korean instruments are played by turns for the aheon and jongheon, and cheolbyeondu ceremony. Marching music is resumed on the way back to the court from the ancestral hall and joyous ceremonies are performed, such as the ritual of exorcism (儺禮, narye 雜戱, japhui), popular folk songs (歌謠, gayo), and banquet dances (呈才, jeongjae). The felicitous rite begins with the decree of amnesty of a king who came back to the court. Then the banquet of sharing sacrificed food and drinking (飮福宴, umbokyeon) is given for those who have been involved with preparing for bumyoui. Muscial pieces for this ceremony are such as jeondaeeop and botaepyeong, similar to those used in other felitous rites.

목차

<국문초록>
Ⅰ. 여는 글
Ⅱ. 조선 전기 「부묘의」
Ⅲ. 맺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연희(Kang Yeon hee). (2009).조선전기 흉례 중 부묘의 고찰. 국악원논문집, 19 , 105-140

MLA

강연희(Kang Yeon hee). "조선전기 흉례 중 부묘의 고찰." 국악원논문집, 19.(2009): 105-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