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가지관(瑜伽止觀)에 나타난 의미[artha, 義]에 대한 고찰

이용수 101

영문명
The Meaning of Artha (義) in śamatha-vipaśyanā of Yogācāra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백진순(Baek Jin Soo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49호, 311~33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해심밀경(解深密經)』의 유가지관(瑜伽止觀)을 통해 일체법을 ‘말의 의미[語義]’로 다루었던 유가행파의 주요한 전통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유가지관의 주요 내용은, 교법(敎法)에 대해 사색하는 것이고, 그것은 크게 법(dharma, 法)과 의미[artha, 義]에 대한 사색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법과 의미의 구분은 말과 의미의 구분과 같다. 이 중에 ‘법(=말)’의 본성에 대한 사색은 이미 초기 불교에서부터 정립된 언어관을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의미’의 본성에 대한 사색은 기존의 관점을 계승하면서도 그것과는 획기적으로 갈라지는 새로운 관점이 제시된다. 유가행파는 하나의 말에 의해 드러나는 것은 대상 그 자체가 아니라 마음에 현현된 그 대상의 영상(影像)이라는 초기 불교의 관점을 그대로 수용한다. 그런데 유가지관에서는, 교법에 의지해서 현현해낸 삼마지영상(三摩地影像)이 바로 ‘알아야할 의미[所知義]’에 해당한다. 이 경에서는 삼마지의 마음에서 교법의 의미로 현현되는 삼마지영상뿐만 아니라, 일상적 마음(=산란된 마음)에서 말의 의미로 현현하는 대상의 영상도 본질적으로 모두 ‘마음이 현현해낸 것’이라 말한다. 이것이 이른바 ‘유식(唯識)’의 교의이다. 이 유식의 교의가 말의 의미에 대한 진술로서 간주될 때, 그것은 이 세계가 그대로 ‘말의 의미’로서 실재한다고 전제하는 학설들에 대한 강력한 반론의 성격을 띠게 된다. 유가행파는 세속의 언어적 관행에서는 거의 무의식적으로 말의 의미를 실체화하는 경향이 있고, 그것이 모든 실재론적 집착의 기점이 된다고 보았다. 유식의 교의는 바로 하나의 말과 그 의미는 우리가 집착할 만한 견고한 실재가 아님을 일깨워준다. 따라서 이 교의를 따르는 유가행자들은, 유가지관 안에서 한편으로는 말 자체와 의미의 세계에 대한 포괄적이고 전체적 지식을 추구해가면서, 다른 한편으로 말과 의미를 실체화하는 모든 종류의 집착으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켜가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ignificance of śamatha-vipaśyanā of Yogācāra is that it has strong arguments against theories based on ‘this world exists just as the meaning of word’. The śamatha-vipaśyanā of Yogācāra is to think of Doctrine (敎法), in detail, the contemplation of Dharma (法) and Artha (義). Here, Dharma is to Artha as word is to meaning. At first, the essence (體) of Doctrine (敎法), which Buddha preached, was about the specific phoneme features from his sound, that is, Nāman or Name (名), Pada or Phrase (句), and Vyañjana or Phoneme (文). So, to know the dharma means to exactly understand what distinctive functions Nāman, Pada, and Vyañjana have in the process of showing A meaning. In the second place, the contemplation into the nature of ‘Artha’ suggests a new prospective, which gives an innovative way and also accedes the view of the early Buddhism. The Yogācāra School accepts the viewpoint of early Buddhism that the thing represented by A word is the image (影像) of the object that appears in the mind, not the object itself. Therefore, to know the meaning of a word (語義) is to know about the image of the object appearing as the meaning of word. However, the Yogācāra School insisted that ‘the image of the object appearing as the meaning of word’ did not come from the outside of the world, but ‘the Mind-Only (唯識)’. Since then, the thought of this school was separated from the previous ones. According to the Yogācāra School, it is not only likely to contemplate ‘the image in Samādhi (三摩地影像)’ appearing as the meaning of doctrine, but also understand the image of the object appearing as the meaning of a word in our daily minds (=distracted minds). Both cases are not basically different. This is the doctrine of ‘the Mind-Only (唯識)’.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이언법성(離言法性)과 철학적 사색
Ⅲ. 법(法)을 아는 것과 의미[義]를 아는 것
Ⅳ. 유가지관에 나타난 의미의 의미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진순(Baek Jin Soon). (2016).유가지관(瑜伽止觀)에 나타난 의미[artha, 義]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 (49), 311-333

MLA

백진순(Baek Jin Soon). "유가지관(瑜伽止觀)에 나타난 의미[artha, 義]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 .49(2016): 311-3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