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5000B.P.이후 평저토기문화권 동부지역의 무덤으로 전용된 주거지에 대한 이해

이용수 275

영문명
Understanding of the dwelling space converted into a tomb in the east part of the flat bottom pottery cultural area after 5000B.P.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김재윤(KIM JAE YOUN)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32호, 27~5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해주 및 두만강 유역, 목단강 유역은 평저토기문화권에서 동부지역으로서 5000B.P.이후가 되면 뇌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가 공통적으로 확인되는데, 이곳 뿐 만 아니라 평저토기문화권의 서부지역인 청천강 유역에서부터 요서지역까지도 확인된다. 전고에서는 이 토기의 형식적 특징으로 평저토기문화권을 동부지역과 서부지역으로 구분했다. 그 외에도 양 지역에서 드러나는 문화의 차별성으로서 매장양상을 검토하고자 한다. 5000.B.P.이후 평저토기문화권의 동부지역에서는 단독무덤이 확인된 예가 없고, 여러 유적에서 주거지 내에 인골이 확인되는 현상을 살펴 볼 수 있는데, 이를 이 지역의 매장양상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 광역적인 비교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후기 구석기시대 바이칼 유역의 말타 유적 주거지내에 무덤이 확인되는데, 무덤은 가장 이른 신석기문화인 6500B.P.키토이 문화부터 무덤 군이 확인된다. 뿐만 아니라 요서지역의 신석기문화에서도 주거공간과 취락공간이 구분되는 양상이 보인다. 7000~6500B.P 흥륭와 문화에서는 주거지 내에 무덤 혹은 취락의 중앙에 무덤이 설치되는 양상이 확인되다가 6000~5000B.P. 홍산문화에서 점차 취락 공간과 무덤공간이 구분되어 가지만 완전히 별 개로 조영되지는 않다가, 5000B.P.이후의 소하연 문화가 되어서야 대남구 유적이나 남보력고토 유적과 같은 대규모 토광묘가 수 십 기가 확인되는데, 취락과 무덤이 구분된다. 그러하다면 본고에서 검토된 주거지내 인골이 보이는 현상은 루드나야 문화부터 확인되는 주거공간과 매장공간이 분리되지 않는 전통이 5000B.P.이후에도 지속되는데, 평저토기문화권 동부지역의 매장양상으로 볼 수 있다. 이것은 5000B.P.이후의 평저토기문화권의 서부지역과의 비교를 통하면 더 잘 알 수 있는데, 소하연문화와 소주산상층문화에서 취락 유적과 무덤 유적의 구분이 되어, 검토된 평저토기문화권의 동부지역과의 차이점이 보인다. 따라서 5000B.P.이후 평저토기문화권의 동부지역과 서부지역간의 차이는 뇌문토기와 이중구연토기의 형식차이 뿐만 아니라 매장양상의 차이로도 문화권의 차별성이 드러난다.

영문 초록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and the double-rimed pottery is found in the east part of the flat bottom pottery cultural area - the Maritime province, the Duman river area and Mudan river area after 5000B.P. This pottery is also found from the Aprok river area to the Liaoxi area. The flat bottom pottery cultural area is separated into east and west part by the typologic character of a pottery. In this two area, it shows cultural difference. The burial aspect is also different. The single tomb is not found in the east part of the flat bottom pottery cultural area after 5000B.P. and a human bone is checked in a dwelling in several sites. The significance of this phenomenon could be analogized though the regional comparison. The aspect of a tomb is checked in a dwelling in the Malta site of the Lake Baical area in the upper paleolithic age. In the noelithic age, a tomb is constructed in earnest. The tombs are checked in a site from the Kitoy culture in 6500B.P. In the Liaoxi area, the dwelling area and the burial area is separated in the neolithic age. Tombs are found among dwellings in the Xinglongwa culture from 7000 to 6500B.P. A single tomb site is checked in the Hongshan culture from 6000 to 5000B.P. such as the Hudugou site. A tomb is also constructed in a dwelling site such as the Baiyinchanghan site. The dwelling area and the burial is gradually separated thereafter but it is not completely separated. This two area is separated from the Xiaoheyan culture after 5000B.P. such as the Danangou site and the Namboryukgoto site that large tombs are found. The tradition that the dwelling area and the burial area is not separated lasted after 5000B.P. That aspect that a human bone is found in a dwelling is thought as the burial aspect of the east part of the flat bottom pottery cultural area. However this two area is separated in the west part such as the Xiaoheyan culture and the Xiaozhushan upper culture. It is differ from the east part.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part appears in the pottery with lightning design or the double rimed as well as burial aspect after 5000B.P, it signifies cultural differenc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5000B.P. 평저토기문화권 동부지역의 무덤으로 전용된 주거지에 대한 검토
Ⅲ. 신석기시대 무덤으로 전용된 주거양상의 광역적 검토
Ⅳ. 5000 B.P. 평저토기문화권 서부지역과 동부지역 매장양상의 비교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윤(KIM JAE YOUN). (2016).5000B.P.이후 평저토기문화권 동부지역의 무덤으로 전용된 주거지에 대한 이해. 한국신석기연구, (32), 27-58

MLA

김재윤(KIM JAE YOUN). "5000B.P.이후 평저토기문화권 동부지역의 무덤으로 전용된 주거지에 대한 이해." 한국신석기연구, .32(2016): 27-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