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결합식조침을 이용한 어류포획 방법에 대한 초보적 검토

이용수 261

영문명
Preliminary Study on the fishing method that uses a composite fishhook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천성주(Cheon Seong Ju)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32호, 59~7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신석기시대의 적극적인 어로행위의 증거 중 하나인 결합식조침을 이용한 어류포획 방법을 검토한 것이다. 지금까지 결합식조침에 대한 연구는 형식분류, 지역성 설정, 교류관계, 축부와 침부의 결합관계 등을 검토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한편으로는 어구와 어종의 관련성을 밝히는 연구도 진행되어, 어종에 따른 선택적 어구 사용에 대한 가능성도 제시되었다. 도구는 기능적으로 완성된 형태가 만들어지면, 재질만 변할 뿐 형태는 유지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특히, 어로구나 농기구는 형태의 시대별 변화가 미미한 특징이 있어, 사용방법에 대한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남해안의 주요 유적에서 출토된 결합식조침에 대한 특징과 출토 어종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여, 어종의 서식 환경과 생태적 습성에 따라 연안표층어류, 연안심층어류, 외양심층어류 등 3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환경에 따른 낚시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안표층어류 낚시법은 연안의 표층, 표층 ~ 중층을 중심으로 서식하는 방어, 다랑어, 정어리, 고등어, 삼치 등의 어류를 대상으로 하며, 배를 이용한 낚시법으로 의도적으로 낚시를 조류에 흘려 어류를 잡는 방식으로 패제, 골제로 제작한 축부를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연안심층어류 낚시법은 갯바위 주변 암초지대에 서식하는 혹돔, 까치상어, 쏨벵이, 볼락, 자바리 등의 정착성 어류를 대상으로 하며, 나무 따위로 만든 낚시대에 줄과 결합식조침을 연결하여 대상어를 잡는 방법, 낚시대 없이 갯바위 주변의 나무나 무거운 돌에 줄을 감고 낚시를 하는 고정식 낚시 방법이 있다. 외양심층어류 낚시법은 100m ~ 200m 대륙붕 주변 암초지대 및 심해에 서식하는 참돔, 곱상어, 대구 등의 어류를 대상으로 하며, 배를 이용한 줄낚시 방식으로 대형의 석재 축부를 단 줄을 고패질하여 대상어종을 잡는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신석기시대 어로 포획 방법은 당시의 기술이기 때문에 증명하기에 어려움이 많은 초보적인 검토라고 할 수 있지만, 신석기시대 어로 포획 방법을 제시한 것에 의의를 두며, 민족지 자료의 확보 및 실험고고학의 자료 축적을 통해 신석기시대 주된 생업방식 중 하나인 어로의 복원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 fishing method that uses a composite fishhook, which is one of pieces of evidence left by active fishing activities in the Neolithic age. Existing studies on composite fishhooks have investigated type classification, regional setting, social exchanges, and frame-hook connections. Other studies hav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fishing tools and fish species, suggesting the possible use of different fishing tools according to fish species. A functionally complete tool typically shows changes only in materials while maintaining its shape. For example, changes in the shape of fishery or farming tools are insignificant over time; thus rather than shape, their methods of use require further stud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fishhooks and excavated fish species from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ish specie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habitats: coastal epipelagic fish, coastal pelagic fish, and oceanic pelagic fish. The study further investigated the fishing methods used within each environment. The fishing method for coastal epipelagic fish is used for yellow tail, tuna, sardine, mackerel, and Spanish mackerel, all of which inhabit the surface and middle layers. The fishing method allows fishhooks, with shafts that were likely made of shell or bone, to flow along the water to catch epipelagic fish. The fishing method for costal pelagic fish is used for species of perch, such as black seabream, banded houndshark, yelloweye rockfish, rockfish, and longtooth grouper that inhabit the reef area around the seashore rocks. The methods include fishing with a wooden rod with composite fishhooks, fixed fishing rods with a wood-wound hand lines, or a heavy stone with no rod. The fishing method for oceanic pelagic fish is used for the species such as red seabream, spiny dogfish, and cod that inhabit the reef area around the continental shelf, 100m to 200m deep, and the deep sea. The method was likely that of line fishing from a boat, catching fish by using lines attached to heavy stones. This study on the Neolithic fishing methods is a rudimentary examin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evidence of this method due to its prehistoric nature. However, the study is meaningful for presenting, to a certain extent, the fishing methods of the Neolithic age. One method, among others, that we wish to further investigate requires acquiring ethnographic data and data from experimental archeology in order to restore the fishing methods of the Neolithic ag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유적 및 어종 검토
Ⅲ. 어류포획 방법 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성주(Cheon Seong Ju). (2016).결합식조침을 이용한 어류포획 방법에 대한 초보적 검토. 한국신석기연구, (32), 59-78

MLA

천성주(Cheon Seong Ju). "결합식조침을 이용한 어류포획 방법에 대한 초보적 검토." 한국신석기연구, .32(2016): 59-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