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항상 유아외사시와 간헐 유아외사시 환자에서 감각 및 운동 기능의 비교

이용수 21

영문명
Comparison of Sensory and Motor Functions in Patients with Constant and Intermittent Infantile Exotropia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황성수() 이수정()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7,number11, 1765~1769쪽, 전체 5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항상과 간헐 원발 유아외사시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파악함과 동시에 감각 및 운동기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원발 유아외사시로 진단 받은 환자 58명을 초진 시 사시 발현 빈도에 따라 항상(21명) 과 간헐(37명)로 나누어 두 군에서의 성별, 사시 가족력, 진단 나이, 구면렌즈대응치, 약시유무를 조사하였으며 사시 및 안구운동검사, 입체시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항상 유아외사시는 간헐 유아외사시에 비해 여아에서 더 흔하고(p=0.027), 우안에서 좀 더 근시 구면렌즈대응치(-0.99D)를 보였으나(p=0.023) 그 외 사시가족력 유무, 진단나이, 약시, 잠복 눈떨림과 입체시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사시각의 크기도 근거리 주시시 및 원거리 주시시 모두 두 군의 차이가 없었고(p=0.598, p=0.518) 해리수직사시는 항상에서 2명, 간헐에 서 3명, 하사근기능항진은 항상에서 8명, 간헐에서 16명에서 동반되었으며 일치수직사시는 항상에서 1명, 간헐에서 3명에서 동반되었고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원발 유아외사시 환자에서 외편위가 간헐적이라도 항상 유아외사시와 비슷한 임상양상을 보이므로 간헐 유아외사시 환자들도 항상 유아외사시 환자에서처럼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1):1765-1769>

영문 초록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ensory and motor functions in patients with constant and intermittent primary infantile exotropia. Methods: From March 2010 to November 2015, 58 patients with primary infantile exotropia were divided into a constant group (21 patients) and an intermittent group (37 patients) according to frequency of exodeviation at the first visit. Sex, family history of strabismus, age at diagnosis, spherical equivalent, and presence of amblyopia were compared. Angle of deviation, ocular motor function, and stereopsis were measured. Results: Females were more prevalent (p = 0.027) and the spherical equivalent of the right eye was more myopic (-0.99 D) (p = 0.023) in the constant infantile exotropia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mily history of strabismus, age at diagnosis, amblyopia, latent nystagmus, or stereopsis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ngle of deviation at near or distance (p = 0.598, p = 0.518).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was accompanied in 2 patients in the constant group and 3 in the intermittent group. Inferior oblique overaction was accompanied in 8 patients in the constant group and 16 in the intermittent group, while vertical deviation was accompanied in 1 patient in the constant group and 3 in the intermittent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for any of these findings. Conclusions: Constancy of exodeviation is insufficient to diagnose primary infantile exotropia. Compared to those in whom exodeviation was intermittent, the patients with constant infantile exotropia showed similar clinical features. Therefore, close observation is recommended in patients with intermittent and constant infantile exotr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1):1765-1769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성수(),이수정(). (2016).항상 유아외사시와 간헐 유아외사시 환자에서 감각 및 운동 기능의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57 (11), 1765-1769

MLA

황성수(),이수정(). "항상 유아외사시와 간헐 유아외사시 환자에서 감각 및 운동 기능의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57.11(2016): 1765-17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