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참여성과가 전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조직요인과 개인특성을 조절변수로
이용수 186
- 영문명
-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Learning Participation Outcome upon Transfer Performance: Organization Factor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Adjustment Variables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최경운(Choi, Kyung-Woo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글로벌경영학회지 제13권 제1호, 143~1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 자기계발의 일환인 조직구성원 교육훈련의 발전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학습참여성과에 따른 전이성과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 기업체에 근무하고 있고, 교육훈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조직구성원 200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이용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참여성과가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참여성과가 전이성과 중 지각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교육훈련 참가자의 반응과 교육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각 선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성과가 전이성과 중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 분석 결과는 교육훈련 참가자의 반응과 교육 후 교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지각 선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특성의 조절효과를 보면, 학습참여성과가 지각선택에 미치는 영향시 조직특성의 조절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교육훈련을 통해 반응 수준이 높아지면 지각 선택수준이 높아지나 동료의 지원 수준이 높을때는 지각 선택수준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성과가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시 조직특성의 조절효과는 교육 훈련을 통해 교육효능감이 수행능력의 향상에 기여하나 상사의 지원은 그 효과를 낮추고 동료의 지원은 그 효과를 더욱 높이며 교육 훈련을 통한 만족도가 높을 때 수행능력 역시 높아지나 조직의 지원 수준이 높다면 그 효과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참여성과가 지각선택에 미치는 영향의 과정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는 지각선택이나 수행능력에 별다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본다면, 조직구성원들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학습동기, 교육효능감, 교육만족도에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업 자체에서도 학습 분위기 조성 및 지원으로 경영성과창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figure out transfer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learning participation outcome to grasp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organization member educational training of organization members and progressed a positive analysi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is research, we used 200 organization composition members who work for the companies in Daejeon Metro City and have the experiences to have participate in educational training as the final research targets. The result of analysis thereto is as follows.
First, as for regressive analysis result as to the effect on awareness selection in the influences of learning participation outcome upon transfer performance,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reaction of educational training participant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the higher perception selection got. As for a regressive analysis as to the effect on performance ability out of transfer performance of learning participation outcome, it appeared that the high educational training participants’ reaction and educational efficacy after education were, the higher perception selection got.
Second, in view of adjustment effect of organizational property,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adjustment effect of organization property in the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outcome on perception selection, it appeared that the higher reaction level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got, the higher perception selection level got, but it appeared that the higher coworkers’ support level was, the lower perception selection level got. In the influences of learning participation outcome on performance ability, the adjustment effect of organizational property witnesses that educational efficac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ability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but a senior’s support lowers the effect and a coworker’s support lifts the effect more, and that when the satisfaction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was high, performance ability got higher as well, but when the level of support of organization was high, the effect got lower.
Thir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adjustment effect of individual property, it appeared that in the process of the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outcome upon perception selection the adjustment effect of individual property had no special effect on perception selection or performance ability.
When generaliz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 case of organization composition members, an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expresses a high effect in learning motive, educational efficacy,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it seems that the company itself suggests the possibility of management outcome crea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support of learning atmosphe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참여성과가 전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조직요인과 개인특성을 조절변수로
- 우선주와 보통주의 가격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경영자능력이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 FTA 이후 수입 과일류의 도매유통 실태에 관한 연구
- 산업별 기술수준에 따른 연구개발비 지출이 이익지속성, 이익성장성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네일케어 업체의 서비스 특성이 관계의 질 및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기업소유구조가 경영자 재임 초기의 이익조정행위에 미치는 영향
- 기업수명주기가 광고선전비 및 판매촉진비와 기업성과 간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 감정노동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관리종목 편입이 감사보고시차에 미치는 영향
- 재무유연성, 부채와 이익의 질
- 인도네시아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연구: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 연결재무제표의 주재무제표화에 따른 가치관련성 변화
- 국가회계와 지방자치단체회계의 재정건전성 지표 비교
- 농촌 체험마을 성공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친환경 관광 창업 현황과 성공요인 분석
- 특허 정보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핵심기술 도출: 모바일 결제 시장을 중심으로
- 기업의 명성과 회계추정의 유용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