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TA 이후 수입 과일류의 도매유통 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5
- 영문명
- A Study on Improvement of Wholesale Distribution for Imported Fruits since FTA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양동선(Yang, Dong-Sun) 변동헌(Byun, Dong-Heon)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글로벌경영학회지 제13권 제1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FTA 이래 수입산 과일류가 국내의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거래가 이뤄지고 있음에 따라, 유통채널 내에서 상대적으로 거래비중이 크고 유통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도매시장을 거치는 수입과일에 대한 유통실태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수입과일에 대한 유통채널에서 수입업체-도매시장(대형유통업체)-소매업체로 이어지는 전형적인 구조를 띠고 있으며, 유통과정에서는 도매시장과 대형유통업체가 양대 축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도매인이 유통채널 상에서 취급하는 물량은 49%로 추정되는데, 이 가운데 수입업체로부터 70%를 직거래하고 30%는 도매시장 경매를 거쳐 공급받고 있으며, 이러한 중도매인의 유통물량 49% 중 30%가 재래시장과 소매점을 중심으로 비정상적인 형태로 유통되어 시장질서를 왜곡하고 탈세의 원인으로 분석되었다(연간 세금 누락 4.0-5.8억 달러 추정).
도매유통의 문제점으로 1)수입업체의 양극화에 따른 독과점 현상 및 과당 경쟁 발생, 2)하역비에 대한 차별적 부과, 3) 도매시장 운영자의 비정상적인 거래 관행에 따른 비효율적인 유통, 4) 중도매인 등에 의한 불투명한 거래와 이에따른 세금 누락으로 파악되었다.
수입과일의 도매유통의 개선점으로는 1)과일 수입업 영업요건의 재정비, 2)도매시장내 합리적인 하역비 부과 적용, 3) 도매시장에서 수입과일의 효율적인 유통이 확보될수 있는 거래방법의 다양 화, 4) 유관기관간 유기적인 유통정보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수입과일의 거래 전과정에서 투명성이 확보되고, 나아가 지하경제의 양성화를 통한 세수 확보도 가능하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illuminating present distribution status of rapidly increased imported fruits after Korea-Chile FTA, for it can be streamlined by some policies as we suggest, that being said that it falls on somehow efficient trades among wholesalers via various distribution channels.
Confining those channels to their nature in business practices, we find they appear to be most commonly categorized to 2 paths for each individual transactions as follows : 1) the classic one between importers, wholesale markets and retailers 2) the derivative one between wholesale markets and big retailers.
The commission merchants, intermediary position in those channels, seem to satisfy roughly 70% of their demand directly from importers and the rest throughout wholesale auction markets.
In the meantime, we find that 30% cut out of 49% supply, ratio to their entire distribution hands, is sold to conventional markets or retailers without formal business process. This sort of distribution practices, having analyzed by this study, turn out to work as economic distortion throughout markets for imported fruits. Especially tax omission was estimated to be 4.0-5.8 million dollars annually.
Throughout broad analysis, we suggest some improvement plans as follows, 1) rearrangement of importers by administrating their rights and qualifications for import, 2) reinforcement of distribution laws to police participants in that field 3) fair unloading rate such as charge per pallet, 4) building up and sharing market information system between government and wholesale market operators.
These suggestions could facilitate stake-holders in foreign fruits distribution industry in South Korea to be more committed to better and clearer transactions in business, and furthermore, will be likely to establish a desirable business practice for proper tax return, thereby legalizing the shadow econom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General Status on Imported Fruits
Ⅳ. Wholesale Distribution on Imported Fruits
Ⅴ. Improvement Plans in Wholesale Distribution
Ⅵ.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참여성과가 전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조직요인과 개인특성을 조절변수로
- 우선주와 보통주의 가격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경영자능력이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 FTA 이후 수입 과일류의 도매유통 실태에 관한 연구
- 산업별 기술수준에 따른 연구개발비 지출이 이익지속성, 이익성장성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네일케어 업체의 서비스 특성이 관계의 질 및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기업소유구조가 경영자 재임 초기의 이익조정행위에 미치는 영향
- 기업수명주기가 광고선전비 및 판매촉진비와 기업성과 간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 감정노동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관리종목 편입이 감사보고시차에 미치는 영향
- 재무유연성, 부채와 이익의 질
- 인도네시아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연구: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 연결재무제표의 주재무제표화에 따른 가치관련성 변화
- 국가회계와 지방자치단체회계의 재정건전성 지표 비교
- 농촌 체험마을 성공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친환경 관광 창업 현황과 성공요인 분석
- 특허 정보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핵심기술 도출: 모바일 결제 시장을 중심으로
- 기업의 명성과 회계추정의 유용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