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을 받을 권리의 자유권적 성격과 내용

이용수 734

영문명
Right to Education as Constitutional Liberty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김하열(Kim Ha yurl)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22卷 第3號, 335~37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헌법 제31조제1항이 보장하는 교육을 받을 권리에는 세 가지 다른 성격의 기본권이 포함되어 있다. 평등권, 사회적 기본권, 자유권이 그것이다. 앞의 두 성격에 비해 비교적 헌법이론적 구명이 부족하였던 자유권적 성격의 독자성과 중요성이 시인되어야 한다. 헌법이 제31조 전체를 통하여 공교육체계를 구축하고 있어서 교육을 받을 권리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권한과 책무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율과 자주성을 핵심으로 하는 교육의 본질상 공교육체계 내에서도 교육 당사자의 자유의 지위는 기본권 차원에서 일정한 정도로 존중, 보호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 자유권의 헌법적 근거는 헌법 제10조나 헌법 제36조제1항과 같은 교육 외적인 곳이 아니라 교육에 관한 헌법조항인 헌법 제31조의 틀 내에서 찾을 수 있다. 학생의 교육 자유권은 헌법 제31조제1항에서, 학부모의 교육 자유권은 헌법 제31조제1항 및 헌법 제36조제1항을 결합하여,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자유권적 분석이 필요하고 적정한 교육 쟁점으로는 의무교육을 포함하여 교육의 거부, 홈스쿨링, 퇴학, 학교선택권, 국정교과서를 비롯한 국가의 획일적 통제교육(Indoctrination)의 배제가 있다. 이러한 교육 쟁점들에 대한 자유권적 분석·평가에 있어서는 기본권의 주체, 효력, 충돌, 제한, 위헌심사기준 등 자유권에 관한 기본권 일반이론들이 원칙적으로 적용된다.

영문 초록

Article 31 paragraph1 of the Korean Constitution guarantees right to education. This right comprises three disparate elements of rights: Equality, social welfare and constitutional liberty(freedom of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the last element, on which less inquiry has been cast, should be recognized. As Article 31 builds public education system, competence and responsibilities of state authorities play considerable role. Nonetheless the free status of relevant parties should be respected and protected somehow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for autonomy and independence are essence of education. Constitutional grounds for freedom of education can be found within the education article(Article 31), not outside of it(like Article 10 or Article 36). Ground for the students can be found in Article 31 paragraph1, while that for the parents can be found in the combination of Article 31 paragraph1 and Article 36 paragraph1. There are several important issues on education that need and fit analyses in terms of freedom of education. Refusal to be educated including elementary education, Home-schooling, Exclusion from school, Choice of school, Denial of Indoctrination from state authorities as in the case of state-written textbook. General theories concerning the constitutional liberties can be applied when limitations on the educational freedom matter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공교육에서 자유권적 성격의 인정 가능성
Ⅲ. 교육 자유권의 헌법적 근거와 주체
Ⅳ. 자유권적 분석이 필요한 교육 쟁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하열(Kim Ha yurl). (2016).교육을 받을 권리의 자유권적 성격과 내용. 헌법학연구, 22 (3), 335-374

MLA

김하열(Kim Ha yurl). "교육을 받을 권리의 자유권적 성격과 내용." 헌법학연구, 22.3(2016): 335-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