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방향의 구성 음과 편차의 변천에 관하여

이용수 160

영문명
On Korean Banghyang Instrument s Tone-Series Trend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정화순(Jeong Hwa soo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6집, 325~35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래악기로서의 방향이 어떻게 변모되어 활용되었는지, 특별히 음열 방식과 구성 음에 주목하여 그 성쇠의 궤적을 상고해본 것이다. 한국 방향의 음역과 구성 음은 임진란 전판과 임진란 후판의 『악학궤범』이 서로 다르고, 그것들은 또 현행과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방향의 음열에 대한 역사적인 변천과정을 밝혀 보고자 『악학궤범』의 판본에 따른 2종류의 음열 방식의 연원을 상고하고, 아울러 현행과 같은 방식으로 바뀌게 된 시기와 경위를 추고해 보았다. 임진란 전판 『악학궤범』의 방향은 12율과 청황[潢]·청태[汰]·청고[㴌]·청중[㳞] 등 16율을 음고순이 아닌, 당악의 연주에 편리하도록 안배하였다. 이러한 음열 방식과 구성 음은 일찍이 진양 『악서』나 마단임의 『문헌통고』 등 옛 문헌에 전하는 방식으로서 애초 중국 연악 7음음계와 그 4청성을 더한 속악의 연주에 편리하였다. 이와 같이 중국 전래의 음열과 구성 음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던 임진란전판 『악학궤범』의 방향은 당시 중국음악적 요인을 충실히 간직하고 있는 당악, 즉 중국 속악의 모든 출현 음을 표현해내기에 매우 편리하였다. 뿐만 아니라 철편의 모양이 상원하방형인 점[당송대의 제도], 2개의 각퇴를 양 손에 들고 치는 법 [원대의 방법] 등도 역시 중국 방향의 옛 전통을 보유하고 있었다. 반면, 임진란 후판 『악학궤범』의 방향은 12율 가운데 <大, 姑, 應> 3음을 결하였지만, 그 음역이 <黃↔㳞>에서 <黃↔淋>으로 증폭됨으로써 그 음역이 <黃↔淋>에 달하는 속악곡의 출현 음들을 모두 연출할 수 있었다. 이는 당시 6음 음계의 당악은 물론, 평조와 계면조의 악곡을 연주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악기로서 그러한 음열과 구성 음을 가진 방향은 중국음악사에서도 전혀 발견되지 않는, 오직 한국음악사에서만 나타난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다. 또한 철편의 모양이 상원하방형에서 장방형으로 바뀐 점, 양 손 주법에서 한 손 주법으로 바뀐 점 역시 종래의 방향과 달라졌는데, 이렇게 바뀐 방향은 후대에도 영향을 미쳐 지속적으로 활용되었다. 한편, 현행 방향은 편종·편경과 같이 아악의 12율4청성을 구비하고 있고, 그 음위 배열방식 역시 아악의 유율타악기인 편종·편경과 같다. 한국 방향의 이러한 편차와 구성 음 역시 한국음악사에서만 확인된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이와 같이 바뀐 시기는 분명하지 않지만, 정황상 1783년 이전에 이미 바뀌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결과적으로 역대의 방향에 비해 음역이 좁아졌지만, 이는 출현 음, 음역 등에서 이미 변화된 악곡을 연주하기에 무리가 없다. 하지만 현행 방향보가 대체로 편종·편경과 동일하다는 사실은 한국방향이 한시적인 폐절로 인하여 옛 전통을 잃은 채, 편종·편경의 연주법을 모방함으로써 일종의 구색을 갖추기 위한 방편으로 재탄생시킨 감을 준다는 점에서 아쉽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foreign-origin instrument Banghyang changed and was utilized, notably, with focus on the tone-series composition method and component tunes. Korea s Banghyang range of note and component tunes are different between the pre-Japanese invasion of Joseon and the post-Japanese invasion of Joseon Akhakgwebeom (the Musical Canon), and they are different from the current version. Thus, this study explored the historical trends of Korean Banghyang s tone-series by examining the origins of two types of tone-series according to Akhakgwebeom versions, and traced back to the time when the they changed to the current method along with such backgrounds. The pre-Japanese invasion Akhakgwebeom Banghyang arranged twelve yuls (tunes) and 4 yuls such as Cheonghwang[潢], Cheongtae[汰], Cheonggo[㴌] and Cheongjung[㳞](total 16 yuls) not in order of pitch, but for the convenience of playing the Dang music. Such tone-series method and component tunes are mentioned in ancient literature such as Jinyang s Akseo(musical book) and Madanim s Munheontonggo, and they were originally convenient for playing the folk music to which the Chinese 7-tune scale and the corresponding 4 Cheongseong tunes were added. As such, the pre-Japanese invasion Akhakgwebeom Banghyang that preserved the conventional Chinese tone-series and component tunes as they were very convenient for expressing all tunes of Dang music, namely, Chinese music, which faithfully contained the then Chinese musical elements. Also, this Banghyang version contained the Chinese Banghyang tradition, such as the slabs of iron shaped like a circular top and a square bottom [Dang and Song s system], and the method of hitting the instrument with mallets [Yuan s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post-Japanese invasion Akhakgwebeom Banghyang lacked three tunes out of twelve tones, but the range of note could expanded to Cheonhwang ↔ Cheongim(黃↔淋), thus expressing all folk music tunes covering the range of Hwang ↔ Cheongim (黃↔淋). The instrument was best optimized for playing not only the then 6-tune scale Tang music but also Pyeongjo and Gyemyeon scales, and Banghyang with such tune-series and component tunes was never found in the Chinese history of music, making the Korean music history very distinctive. Also, the iron piece shape changed from a shape of a circular top and a square bottom to a square shape, and the two-hand playing method changed to one-hand playing method, differentiating the new Banghyang version from the older one. Such a changed Banghyang continued to be used later.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Banghyang version has the twelve tunes and four sounds of Aak like Pyeonjong and Pyeonggyeong instruments, and its direction of tone arrangement method is the same as that of Aak yuul percussion instruments Pyeonjong and Pyeongyeong. It is notable that Korean Banghyang such tune series and component tunes were found only in the Koran history of music. As such, such a change time is not clear, but given various circumstances, presumably, the change had already occurred about 1682 to 1783. After all, compared to the previous Banghyang versions, the current Banghyang narrowed its range of note, but could competently play the music with changes in expressed tunes and range of note. However, the fact that the current Banghyang musical scores are generally the same as those of Pyeonjong and Pyeonggyeong suggests that Korean Banghyang was temporarily disposed of, thus losing the ancient tradition, regretably leading it to copy the playing method of Pyeonjong and Pyeongyeong and giving the impression of allocating artificial assortments to i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화순(Jeong Hwa soon). (2012).한국 방향의 구성 음과 편차의 변천에 관하여. 국악원논문집, 26 , 325-355

MLA

정화순(Jeong Hwa soon). "한국 방향의 구성 음과 편차의 변천에 관하여." 국악원논문집, 26.(2012): 325-3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