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도 굿 음악에 나타난 제주도 음악어법의 정체성

이용수 185

영문명
The Identity of Musical Grammar of Jejudo Revealed in Shaman Ritual Music - Focus in Chilmeoridang-gut and Donggimnyeongli Jamsu-gut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혜정(Kim Hey ju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6집, 189~21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제주도 굿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제주도 음악어법의 정체성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 확장 가능성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제주도굿과 관련된 선행연구물과 자료집, 그리고 칠머리당굿의 동영상 자료와 필자가 현지 조사에 참여한 동김녕리의 잠수굿 동영상 등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굿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박자구조는 불규칙박+불규칙박자, 3소박 자유박의 두 가지이다. 또 춤을 비롯한 나머지 부분에서 3소박 4박을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한국 음악 전반에 나타나는 보편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2소박 4박은 3소박 4박을 빨리 연주하면서 생긴 박자이며, 2소박 12박은 3소박 4박을 느리게 연주하면서 나타나는 박자이니 결국은 3소박 4박 계열로 묶어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제주도에서는 악기를 연물 이라 칭하고 장단 역시 연물 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제주도 굿의 장단은 ○○연물 과 같이 표현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셋째, 제주도 굿에 사용된 3소박 4박형 장단의 가사붙임을 살펴보았더니 타령형과 푸넘장구형, 굿거리형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타령은 경서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는 장단이며, 푸넘장구는 평안도 굿에서 사용되는 장단이다. 굿거리 역시 경기와 서울굿, 평안도 굿에서 사용되고 있는 장단이다. 그리고 4·4조(4·2조)와 3·3조 율격의 가사붙임새, 3음보와 4음보 등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가운데 3·3조는 주로 황해도 민요에서 출발한 율격이라 생각되며, 평안도에서는 이를 굿에서 사용하고 있어 그 친연성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본풀이연물과 음영형은 심방이 직접 악기를 연주하면서 독창하며, 주로 앉은반을 사용하므로 박자가 불규칙해질 수밖에 없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내륙의 굿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반면 소미가 반주하는 삼석연물은 장단이 규칙적으로 연주되며, 악기 연주로부터 자유로워진 심방은 다양한 의식적 행위와 춤등의 신체적 표현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미의 반주 가운데 장귀나 울북정도를 활용하는 반주는 대체로 삽입가요적 성격의 악곡들을 반주하고 있으며 악기 연주법도 달라져서 계열이 다른 악곡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 서우젯소리는 민요 계열 악곡이며, 군웅덕담은 창부타령 계열 악곡으로 생각된다. 다섯째, 제주도 굿의 악기인 울북, 설쇠, 대양, 장귀는 내륙의 북, 꽹과리, 징, 장구와 외형적으로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방법과 음색으로 연주된다. 때문에 제주도 굿만의 특별한 음색을 만들어내고 있다. 악기 편성이 타악기 위주로 이루어 진다는 점에서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 등의 서도지역 굿 음악과 가장 유사한 특성을 보이지만 울북이 굿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사용된다는 점은 독특한 특징으로 생각된다. 또한 장귀의 사용이 나머지 세 악기와 완연히 분리되는 것으로 보아 장귀는 계통이나 수용과정이 달랐을 것으로 짐작된다. 여섯째, 그동안의 선행연구에서 제주도 굿음악의 음계적 특성에 대해서는 깊이 있게 논의되지 못한 경향이 있다. 제주도 굿의 음계적 특성에 대해 아직 결론을 내릴 단계에 이르지는 못하였으나 민요에서와 같이 경서도 지역의 음계와의 구조적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ntity of musical grammar of Jejudo in Shaman Ritual music.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I intend to reorganize the shaman ritual music of Jejudo, through which I will suggest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discussions on the identity of musical grammar of Jejudo. What I have utilized in this paper are the precedent research results and data, movie clips of Chilmeoridang-gut and movie clips of Donggimnyeongli Jamsu-gut, of which I have participated in an on-site survey. The following is the result. First, the rhythmic patterns most widely used are the combination of irregular beats and regular beats, and the free style time of 3 small beats. In most ceremonies except for dance, quadruple time of 3 small beats is used the most, which is considered a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usic. Since quadruple time of 3 small beats can be variated to quadruple time of 2 small beats when played in quicker tempo, and to 12 time of 2 small beats when played in slow tempo, it can be considered the representative rhythmic structure in the gut music of Jejudo. Second, the musical instruments are named yeonmul in Jejudo and it is also used for jangdan. Thus, it is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to express the gut jangdan of Jejudo as **yeonmul. The gut jangdan of Jejudo has been explained in the terms made for Namdo pansori in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so far, and this should be corrected as it is not suitable for explaining the musical structures of the gut music of Jejudo.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the lyrics arrangement to the rhythmic pattern of quadruple time of 3 small beats is similar to that of the taryeong-type, puneomjanggu-type, and gutgeori-type. Taryeong is widely used in Gyeongeodo while puneomjanggu is used in Pyeongando. Gutgeori is also used in the Gyeonggi-gut, the Seoul-gut, and the Pyeongando- gut. Also, it has been found that the lyrics are arranged to meters of 4·4(4·2), 3·3. The meter of 3·3 is considered to originate from the folksongs of Hwanghaedo, and it seems to be in close relation to the gut music of Pyeongando as it is also used in the gut music of Pyeongando. Fourth, simbang himself plays the musical instrument while singing solo in Bonpuri yeonmul and Eumyeong-type jangdan, and the beats are irregular since he performs while sitting. Such characteristic appears in the shaman rituals of the inland area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jangdan of Samseokyeonmul played by somi is regular, while simbang who is free from playing an instrument, have various physical expressions in ritual actions and dance. The accompaniment of Janggwi or Ulbuk played by somi is largely of the music pieces that are inserted, and the playing styles differ from one another implying that they are all different type of pieces. Actually Seoujetsori is a piece from minyo-type, while Gunungdeokdam is considered a Changbutaryeong-type. Fifth, Ulbuk, Seolsoe, Daeyang, and Janggwi, the musical instruments of the gut music in Jejudo, look similar to Buk, Ggwaenggwari, Jing, Janggu from the inland area, but they are played in totally different styles and tunes, which creates unique tunes of the Jejudo-gut. The music of the Jejudo-gut seems to be similar to that of Seodo including Hwanghaedo, Pyeongando, Hamgyeondo in terms of percussion-oriented orchestration, but it is distinct in that Ulbuk takes the large part in the Jejudo-gut. In addition, Janggwi is presumed to be different from the other instruments in either the type or the way it was introduced, considered of its usage which is completely separate from the others. Sixth, there have not been enough discus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ales of the gut music of Jejudo in the precedent researches. Thus it is not the time to decide on the scales of the gut music of Jejudo, however, the similarities in the scales to the Gyeongseodo region can be found as in the case of the folksongs.

목차

<국문초록>
Ⅰ. 제주도 굿음악 연구의 반성적 검토
Ⅱ. 제주도 굿의 악기 사용 양상
Ⅲ. 제주도 굿의 박자구조와 장단형
Ⅳ. 제주도 음악어법의 정체성과 문화권적 이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정(Kim Hey jung). (2012).제주도 굿 음악에 나타난 제주도 음악어법의 정체성. 국악원논문집, 26 , 189-215

MLA

김혜정(Kim Hey jung). "제주도 굿 음악에 나타난 제주도 음악어법의 정체성." 국악원논문집, 26.(2012): 189-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