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의 복지수요 대응과 지역사회 활용 : Random Graph를 활용한 서울 노원구의 네트워크 동학(dynamics) 분석

이용수 620

영문명
School s Response to Student s Welfare Demand and its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 Analysis of Network Dynamics Using Random Graph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김경년(Kim Kyung Nyun)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22권 제2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가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기관과 다중적인 관계망(network)을 유지하고 전문지식, 정보, 프로그램을 공유한다면 학교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복지수요에 대응하고 서비스 제공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배태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조와 형태를 Random Graph 모형을 적용하여 학교와 지역기관의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형태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지역사회에서 기관 간 사회자본이 구조화 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육복지 사업학교로 지정과 같은 학교의 구조적 차이와 지역사회 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에서 차이점을 설명하는데 있다. 서울시 노원구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보면, 네트워크의 배태성으로 호혜성(reciprocity)과 기관 간 이행성(transitivity)은 네트워크 폐쇄성(closure)을 확장시켜 주었다. 교육복지 학교는 지역기관에 제공할 수 있는 재정이 있기 때문에 발신(sender)에 의해 네트워크 가능성이 높았고 지역기관의 요청에 대응하는 지정 인력이 있기 때문에 수신(receiver)에 의한 네트워크 또한 형성 확률이 높았다. 교육복지 학교 간에는 동종선호(homophily)에 의해 네트워크가 향상되었지만 동일한 특성을 나누지 않는 일반학교 간에는 그렇지 않았다. 이는 두 종류 학교의 구조적인 공백이 지역기관을 통해 연계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도에 의한 책임 설정이 교육복지 지정 학교와 비지정 일반학교의 연계가 일어나는 이행성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비지정 학교는 교육복지 예산과 인력이 지원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육복지 사업에 참여는 것이 학교 운영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학교의 이미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어 디커플링(decoupling)의 이득을 감지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복지 학교 지정 제도에 의해 설정된 책임성이 교육복지공동체에서 일반 학교를 배제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School can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 and functionally complement its lack of capacity if school maintains multiple network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and by sharing knowledge, information, programs with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collaboration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by school s structural traits such as whether the school is designated as a welfare school. Result shows that embedded reciprocity and transitivity among organizations enhance network s closure. Since educational welfare school have funds to work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those schools build dense network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by sender position. Furthermore, since educational welfare schools has liaison personnel, the educational welfare school has a higher probability to build network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by receiver position. Thus, educational welfare school tends to build homophilic network with each other but not with ordinary schools. This means that though welfare school and ordinary school can fill structural holes through transitivity of network by community organizations, the responsibility set by educational policy consequently prevents linkage between welfare school and general school. Furthermore, the responsibility assigned to only welfare school results in excluding ordinary schools from educational welfare communit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헌분석 및 가설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년(Kim Kyung Nyun). (2016).학교의 복지수요 대응과 지역사회 활용 : Random Graph를 활용한 서울 노원구의 네트워크 동학(dynamics)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22 (2), 1-26

MLA

김경년(Kim Kyung Nyun). "학교의 복지수요 대응과 지역사회 활용 : Random Graph를 활용한 서울 노원구의 네트워크 동학(dynamics)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22.2(2016):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