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경제 관련 교과서 방향 탐색
이용수 149
- 영문명
- Studies on Economic Textbooks in Korean 1-12 System for Promoting Entrepreneurship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김주미(Ju mi Kim) 박재필(Jae pil Park)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7권 제1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25/125809.jpg)
국문 초록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견인차로서 중소기업의 실질적 일자리 창출은 최근 금융위기로 인해 심각해지는 청년실업률 증가, 즉 청년니트족의 등장에서 더욱 중요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는 기존 초․중․고등학교 경제관련 교과서가 중소기업 관점에서 우리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교육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금번 연구에서는 사회, 경영, 경제, 기술․가정, 공업입문 등 5과목 총 86종 교과서를 분석대상으로 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새로운 내용의 추가(41.6%), 부정확한 서술(25.9%), 부적절한 서술(15.3%), 주관적 서술(11.1%) 등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저술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경제관련 교과서도 상당부분 포함하고 있었다. 특히 중소기업, 벤처기업, 창업 및 기업가정신이라는 키워드로 기술된 교과서는 전체 86종 교과서에서 30종 교과서에 지나지 않아 이 부분에 대한 내용보강이 시급했다. 경제관련 교과서 개선방안은 첫째, 고용 없는 성장시대에 중소기업의 일자리창출기능의 극대화를 위한 기업가정신의 함양이 시급하다. 둘째, 대기업과 비교해 약자라는 측면의 중소기업과 이윤극대화만 추구하는 기업경영자의 이미지 제고가 필요하다. 셋째, 경제관련 교과서가 제계나 경제학계의 종합적 논의를 통해 정부의 홍보책자 수준을 벗어나 기업의 실제 사정이나 내용에 대한 학습이 가능한 현장학습중심으로 건설적인 개편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80여종의 경제관련 교과서를 분석하였지만 이를 통계적 분석을 활용하여 더 깊이
있는 연구를 하지 못하여 다른 선행연구들과 같이 경제교육의 현황. 문제파악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외면되었던 중소기업을 연구의 주제로 삼았고 경제관련 교과서 86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With the introduction of NEET people resulted from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ME, an engine for economic growth plays a pivotal role in creating employment. but previous researches on economic textbooks have not delved into the issue, how to teach our students.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5 classes, 86 textbooks in 5 classes such as social studies, management, economics, manual training & home management, introduction of industry. According to analysis, adding new contents(41.6%), clear description(25.9%), appropriate description (15.3%), objective description(11.1%) etc. a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our economic text books. Especially, 30 out of 86 textbooks described SMEs, venture business, starting a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as keyword. In order to enhance economic textbooks, first, in the era of jobless growth, entrepreneurship should be cultivated for creating new business. Second, the aspects that SMEs are loser comparing to LE and CEOs only focus on profit maximization, should be changed. Third, economic textbooks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productive field-oriented viewpoint. Even though, the limit of this research is that we did not analyzed textbook data by using statistical analysis and did not overcome general limit of previous researche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we studied 5 economic related classes with 86 textbooks and centered on the SME issues.
목차
Ⅰ. 서 론
Ⅱ. 경제교육의 개요
Ⅲ. 국내 경제교과서 분석
Ⅳ. 결론 및 개선방안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러닝 수용에 있어 e-러닝 활용 역량과 컴퓨터 시스템 역량의 영향
- 회계이익의 질과 경영자 예측정보
- 기업 웹사이트를 이용한 사이버 IR 정보공시 유형별 실태 분석
- 서예서체 이미지형용사 풀(pool)구축에 관한 연구
- 상업 정보계 고등학교 학생의 상업 전공 영어 몰입 교육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요인 간의 구조에 관한 연구
- 자사주 매입 기업의 가격효과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기업 규모별 특허 특성 차이 분석 및 경영성과에 관한 실증 분석
-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경제 관련 교과서 방향 탐색
- 상품선물시장의 거래량 정보 유용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인의 해외여행 수요함수 추정
- 최대주주지분율에 따른 이익의 정보유용성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Vol.1 No.2 Contents
- A Study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for Innovation Talent Development: The Case of Chinese Art College
- The Chinese Game Market in the Post-Black Myth: Wukong Era: Core Challenges, Strategic Responses and Analysis of Its Emerging Tren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