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石器時代 中期~晩期 韓日土器文化交流의 特質

이용수 171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Exchange of Pottery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Middle and Late Neolithic Period - Comparison of exchanges in different trends in North-eastern Asia -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古澤義久(Yoshihisa Furusawa)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22호,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大韓海峽을 둘러싼 韓日 新石器時代 交流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근년, 교류는 상대적으로 단편적이고 규모가 작았으며, 토기문화에 있어서는 상호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하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하나의 조류를 이루고 있다. 또 한일 토기 교류에 관한 연구 동향의 한 측면으로서, 대한해협을 낀 지역의 교류를 동북아시아 전체 속에서 위치지우려고 하는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韓半島丸底土器에 중심을 두고 한반도 환저토기문화의 최단부에서의 토기문화 교류를 비교하여, 대한해협에서의 토기문화 교류를 한반도 환저토기문화 측에서 상대화함을 목적으로 하는 검토를 행하였다. 신석기시대 중기의 한반도환저토기와 극동평저토기의 관계에 대해서는, 清川江流域에서는 평저토기가 기본이지만 평저토기의 문양이 환저토기에 시문되는 절충토기 등이 보이면서 평저토기와 환저토기가 공존하며, 咸鏡南道에서도 평저토기와 환저토기가 공존하는 강상리유형이 전개된다. 또, 한반도 환저토기와 황하 하류역 신석기시대 토기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한 토기문화 교류가 인정되지 않는다. 해협을 낀 지역으로서 大韓海峽과 黃海를 비교하면, 확실한 토기문화 교류의 존부에 명확한 차이가 나타나, 이 차이는 섬과 육지를 육안으로 볼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관계되어 있을 가능성을 지적하였다. 또, 대한해협과 청천강유역·함경남도를 비교하면, 절충토기 양식의 형성 여부에 차이가 보인다. 이 차이는 해협의 유무라는 자연환경과 함께 교류의 담당자와 내용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되며, 구체적으로는 한일 간 교류의 담당자가 남성인 어로민이 중심이고 교류 형태도 간헐적인 것이라는 종래의 지적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보인다.

영문 초록

Prolific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exchange of the Neolithic period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the Korea peninsula. Recently, there appears a new trend that points out the exchange was relatively fragmentary and small and had almost little influence. And also there is a tendency to locate pottery exchange through Korea peninsula in the set of whole northeast Asia. Based on such trends,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pottery culture on the bottom level of the Hwanjeo(round bottom) pottery culture and reviewed to make the exchange of pottery in the Straits of Korea relative in the context of the Hwanjeo culture in the Korea peninsula. In the relation between the Hwanjeo pottery in the Korea peninsula and the Far East Pyeongjeo(flat bottom) pottery in the middle Neolithic period, while the Pyeongjeo pottery was widespread in the area of the Cheongcheon River, the Hwanjeo pottery existed together having the Jeolchung(mixed type) pottery in which pattern of the Pyeongjeo pottery was inscribed in the Hwanjeo pottery. In Hamgyeongnam-do, Gangsang-ri type in which the Pyeongjeo and Hwanjeo potteries co-existed was found. And, there was no clear exchange between the Korea peninsula Hwanjeo pottery and the pottery in the Neolithic period in the downstream of the Yellow River. There is an explicit difference in the existence of apparent pottery culture exchange when it comes compare the Straits of Korea and the Yellow Sea as areas with straits. This difference may link to a matter if island and land can be seen with naked eyes. When the Straits of Korea, the Cheongcheon River and Hamgyeongnam-do are compared, there is a different in the Jeolchung pottery pattern formation. This difference is conjectured to be caused by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he existence of strait. Specifically, the facts that attendants of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ere male fishermen, and that the exchange type was sporadic seem to support the remark as in the past.

목차

요약
Ⅰ. 최근의 韓日 新石器時代 土器文化 交流에 대한 연구 경향과 본고의 目的
Ⅱ. 韓半島丸底土器와 繩文土器
Ⅲ. 韓半島丸底土器와 極東平底土器
Ⅳ. 韓半島丸底土器와 膠東半島 新石器時代 土器
Ⅴ. 동북아시아에 있어서 異系統土器文化 接觸의 비교에서 본 대한해협間 交流의 特質
Ⅵ. 結語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古澤義久(Yoshihisa Furusawa). (2011).新石器時代 中期~晩期 韓日土器文化交流의 特質. 한국신석기연구, (22), 1-32

MLA

古澤義久(Yoshihisa Furusawa). "新石器時代 中期~晩期 韓日土器文化交流의 特質." 한국신석기연구, .22(2011):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