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복원 및 실험

이용수 192

영문명
Restoration and Experiment on Neolithic Dwelling Sites - Focused on the Ansan Singil-dong Dwelling Site No. 5 -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김진희(Kim Jin Hee)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9호, 49~7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7.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집자리의 복원은 그 당시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알아보는 것으로 문화, 의식주, 종교,사회 및 경제적인 모습을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발굴결과를 통해서얻을 수 있는 자료는 평면형태에서 보이는 기둥구멍과 바닥깊이가 대부분이며, 화재집자리의 경우 목탄흔적을 통해서 지붕구조를 일부 알 수 있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고는 그 당시 주생활을 추론하는데 꼭 필요한 부분으로 집자리복원에대한 중요성을 느꼈다. 복원대상은 최근 급격하게 증가한 중서부지역 유적 중 비교적 평명형태가 비교적잘 남아있는 안산 신길동 5호집자리를 중심으로 직접 집자리 복원을 실시하였다. 복원결과, 집자리 축조시간보다 재료 채취시간 및 노동력이 더 들었다. 또한 기둥설치 시 처음에는 一 자 기둥을 이용하여 기둥을 세우고 도리를 올리려 했으나, 안정적으로 엮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끝부분에 큰 가지가 나있는 Y 자형 기둥을 사용하자, 쉽게 도리와 보를 올릴 수 있었다. 복원한 집자리를 통하여 내부 화덕자리에 불을 피워 땔감 무게에 따른 연소시간,내부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낮에는 외부의 기온이 내부보다 더 높았다. 밤에는 화덕자리 온도차이가 4∼8℃정도로 내부에 보온효과가 생겼다. 그러나 화덕자리와의 거리, 설치높이 등 온도계의 위치에 따라 온도가 다르게 측정되어, 실험 시온도계의 위치에 주의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땔감무게에 따른 연소시간은 5kg일 때40분에서 1시간정도 소요되어, 같은 무게를 연소시켰을 때에도 땔감을 넣는 속도와양에 따라 연소시간의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나 눈을 피해 땔감을 저장하는 넓은 공간이 존재했을 것이란 추측을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restoration of old dwelling sites, which is for exploring people’s life in the corresponding age, allows us to presume the culture, food-clothing-shelter,religion, society and economy in those days. However, data obtained through excavation are merely post holes and floor depth left on plane sites, and burned dwelling sites may provide at best clues for roof structure such as the trace of charcoal. Thus,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dwelling site restoration as an essential part for presuming people’s shelter-related life in ancient times. The subject to be restored was Ansan Singil-dong Dwelling Site No. 5, which preserves its plane shape relatively clearly compared to other sites in the Midwest Region, where the number of newly discovered dwelling sites is increasing rapidly recen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toration, it took more time and labor to collect materials than to build the dwelling site. In addition, we tried to erect ‘I’-shaped posts and put girders on the posts at the beginning, but could not tie them up securely. However, when we used ‘Y’-shaped posts with a branch at the end, we could put beams and girders on the posts easily. We made a fire at the site of hearth inside the restored dwelling site, and measured burning time and indoor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the weight of fuel. According to the results, outside temperature was higher than inside during daytime. At night, temperature at the site of hearth was around 4∼8℃ higher,showing a heat insulation effect inside. However, temperature was different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hearth,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rmometer, etc. This suggests that the position of thermometer should be set carefully in experiment. As to burning time according to the weight of fuel, when weight was 5kg, burning time was around 40 minutes - 1 hour. That is, for the same weight of fuel, burning time was different according to fuel feeding rate and quantity. In addition, it was presumed that there would be a large space for keeping fuel from rain or snow.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복원대상 선정 및 검토
Ⅲ. 집자리 복원
Ⅳ. 집자리 생활 실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희(Kim Jin Hee). (2010).신석기시대 집자리의 복원 및 실험. 한국신석기연구, (19), 49-75

MLA

김진희(Kim Jin Hee). "신석기시대 집자리의 복원 및 실험." 한국신석기연구, .19(2010): 49-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