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소형 발형 토기 연구

이용수 298

영문명
A study of Small Bowls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Period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임상택(Lim Sang Taek)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9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7.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신석기시대의 소형 발 및 천발형토기 변화과정을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통해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 변동과정의 연속성과 단절성 여부에 대한 검토 역시 가능할 것이다. 발형토기와 천발형 토기는 총 8개의 세부형식으로 나뉘었으며 조기~중기 단계까지 그 변화양상을 검토 하였다. 검토결과 발형토기의 기형 변화 경향은 여타 중,대형 토기의 기형변화경향과 궤를 같이 하며, 중기단계에 가장 큰 기형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중기가 되면 편평한 구순에 직립구연을 가진 형태가 많아지고 문양이 시문된 토기가 증가 하며 저부형태는 가장 둥근 형태가 된다. 전형적인 천발형 토기는 전기에 소량 나타나기 시작해 중기 이후 보편화되는데 중기에는 기형상 발형토기와 유사한 변화경향이 관찰 된다. 이를 기초로 남부지역 전~중기 토기문화의 연속성과 단절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남부지역 중기토기문화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인식되는 중서부지역의 소형토기를 비교 검토하였다. 중서부지역의 소형 발형토기는 평저토기를 기본으로 하고 문양시문 비율이 높은 점 등에서 남부지역과는 기본적으로 다른 구성을 하고 있으며 중서부 나름의 내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남부지역의 중기 소형 발형토기류들은 조기 이래로 토착의 기종·기형적 특징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남부지역의 태선문토기로 대표되는 중기 문화 성립과정에는 외부적 영향이 강하였음을 부정할 수 없지만, 토착적인 토기문화 전통 역시 강하게 지속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변화를 주도하는 새로운 생활영역과 관련된 물질문화에는 의도적으로 외래 신규 문화요소들이 표출되고, 기존의 일상 가내(소형토기), 의례(주칠토기) 영역에서는 토착적 전통이 유지되는 이원적 구조가 중기단계에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며 이후 이러한 이원적 구조는 남부지역 토착화(일원화)의 과정을 밟는 것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at the establishment of chronological sequence on small potteries that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during the Neolithic period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Neolithic cultural traditions in southern Korea can be investigated from the changes of small potteries. Small potteries divided to eight sub-types by their forms and the formal changes of those sub-type from Initial to Middle phase in study area is examined. From the analysis, it can be found that formal changes of small potteries paralleled to those of medium to large potteries and major formal changes occurred during Middle phase. Those changes include the increase of flat lip, fully round base and decoration on bowls and shallow bowls. The new pottery tradition of Neolithic Southern Korea during the middle phase is perceived to appear under the influence of central western pottery tradition. For the reexamination of this hypothesis, I compared to that of southern Korea. From the comparison, it reveals that small potteries of Central western Korea is different basically in several aspects. These potteries have flat bottom and also have high proportion of decorated potteries. On the contrary, small potteries of Southern Korea have round bottom from the initial phase to the end of Neolithic period and have little decoration basically. It means that, though the influence of central western pottery tradition is strong, inherent pottery tradition is also lasted. Inherent pottery tradition is lasted in the area of everyday domestic life and ritual. This dual structure of pottery tradition is formed during the middle phase, but before long this dual structure is melting to united one distinct to southern Korean neolithic pottery tradition.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기종과 기형분류
Ⅲ. 남부지역 소형 발형토기의 전개양상
Ⅳ. 소형토기의 전개양상을 통해 본 남부지역 중기문화 성립 과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상택(Lim Sang Taek). (2010).신석기시대 남부지역 소형 발형 토기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19), 1-25

MLA

임상택(Lim Sang Taek). "신석기시대 남부지역 소형 발형 토기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19(2010):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